“울산 기후위기 전담 연구기관 필요”
울산연구원, 설립 타당성 분석·방안 제시
울산연구원(원장 임진혁)은 6일 ‘기후위기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센터 설립 타당성 연구’ 보고서를 내고, 지역 내 기후변화와 대응을 위한 연구기관 설립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마영일 박사는 기후위기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137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국가적 역할과 의무가 강조되고 있으며, 지역 차원에서도 기후위기 대응역량 강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마 박사는 국내 기후변화 현상·영향 분석 및 대응을 위한 국가 규모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지역의 문제 파악과 개선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에 특화된 연구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천, 광주, 강원, 충남이 지역의 기후·환경문제 파악 및 개선을 위한 연구조직을 설립·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들며, 울산의 문제와 해결방안에 집중할 수 있는 연구조직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타 연구기관 사례와 관련 법령 등을 고려해 울산지역 연구기관 설립 시 △기후변화 관련 자료 수집·분석 및 관리 △기후변화 대응 정책 연구 및 정책지원 △지역산업 탄소중립 지원 △교육·홍보 및 국제교류 등의 기능과 역할을 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지역산업 탄소중립 지원’ 역할의 경우 중화학공업이 주를 이루는 울산 특성을 고려해 에너지 효율 진단 및 컨설팅, 녹색경영 지원,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 거래제 컨설팅, 외부감축사업 상쇄제도 이행 지원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조직의 설립 형태는 공공성과 정책 수립-이행 체계의 용이성, 전문인력 확보, 지속성 및 확장성을 고려해 출자출연 재단법인의 형태가 적절하다고 제의했다.
아울러 설립 과정 중 발생하는 연구수요 공급 공백에 대처하기 위해 1~2년간 공적영역에 있는 연구기관 위탁을 통해 대응하고 조직의 기반을 마련하는 과정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와 함께 연구기관의 기능 및 역할별 중요도를 고려해 5년 동안 단계적으로 부서와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마영일 박사는 지난달 25일 시행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의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센터’ 설립·운영 근거를 언급하면서, “울산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요인들이 다른 지역들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만큼, 탄소중립 지원센터와 연계한 연구조직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