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인구감소 대응… 정책 방향성 제시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1745
작성일 2022-04-11 게재일자 2022-04-11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울산 인구감소 대응 정책 방향성 제시

울산연구원, 지역특성 분석 등 연구결과 공개

 

산연구원(원장 임진혁)11울산인구정책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울산의 인구 관련 현황 및 특성 분석을 토대로 한 인구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를 맡은 이윤형 박사는 2020년 울산의 합계출산율은 0.984로 이미 초저출산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같은 해 울산시는 인구정책기본조례를 제정해 5년마다 인구정책종합계획을 수립키로 하고 올해가 (종합계획의) 시행 첫 해라고 설명했.

 

연구 결과 이 박사는 우리 사회가 성장주의 패러다임을 통해 많은 발전을 이뤘기에 인구문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슈로 작용하고 있고, 주요 원인을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종합적이고 복합적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실질적인 인구정책을 펼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의 생애주기별 욕구에 대응하고 자연인구를 늘리는 정책을 포함해서 개개인 삶의 질을 높이는 인구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울산이 먼저 저출산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나가며 자연출생인구 감소라는 시대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할 것을 제의했다.

 

이를 위해 정주 인구뿐 아니라 유동인구 등 대상범위를 포괄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청년일자리, 청년주거, 청년문화 등과 연계한 청년인구 유출 방지 방안과 청년들이 울산에 머물고 유입되는 정책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농어촌 등의 울산 외곽지역에 대한 행정 사각지대를 예방하고 기초생활인프라를 확보하는 등 지역균형발전전략도 정주환경 개선과 함께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이윤형 박사는 궁극적으로 자연인구를 늘리는 정책이 중요하지만 인구 유입과 유입인구의 정착, 정착인구의 유출방지 정책 등이 함께 요구된다개인 중심의 관점, 특색 있는 지역콘텐츠, 개개인의 삶의 질 제고 등이 주요한 방향성이라고 강조했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