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의 산업적 우위 활용… ‘미래 해저도시’ 건설 가능성 모색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1583
작성일 2021-12-20 게재일자 2021-12-20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울산도시환경브리프 104]

 

울산의 산업적 우위 활용미래 해저도시건설 가능성 모색

정원조 박사 / 미래도시연구실

 

<현황 및 분석>

현대 도시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공간 개발필요성 대두

- 사회적 측면에서 미래 기후변화 대응, 토지 이용의 한계 극복, 개발에 따른 지역갈등 이슈 최소화를 위해 해양공간의 이용 범위가 육상에서 해상으로 확장되고 있음

- 산업 측면에서도 해양공간을 활용한 에너지원(풍력, 조력) 생산·저장기지, 해양개발 전초기지, 신규 관광지 조성이 증가 추세

 

정부, 해저공간 활용을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을 통해 우주·해저도시 건설, 극한환경 생존기술 개발 등의 계획을 제시

- 해양수산부는 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21~’30)’을 통해 해저공간 관련 정책을 제시

이는 지역 상생·열린 해양공간 조성, 해양수산 데이터 생태계 구축, 해양수산 디지털 비즈니스 육성, 첨단 해양장비산업 조기 상용화, 해양에너지·자원 개발 선진화, 해양공간계획 기술 고도화, 해양영토 주권·주권적 권리 행사 강화 등임

 

해저공간 이용 관련 글로벌 동향

- 일본은 2030년까지 5천명을 수용하는 해저도시를 조성할 계획(인구밀집 해소, 신규 관광지,해양개발 전초기지 활용)

- 브라질은 수중하부 250층 규모에 2만명을 수용하는 해저도시 구현을 발표(해양연구, 거주, 관광, 식물경작)

- 피지·몰디브·두바이는 천해부와 육상을 연계하는 수중 거주공간을 구현할 계획(관광, 호텔, 리조트)

 

울산,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해저기지 건설 필요

- 울산은 기존 주력산업의 성장 한계 극복을 위한 산업구조 전환 및 친환경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창출할 필요가 있음(미국의 경우 해저기지와 연계한 우주산업 육성으로 일자리 2만개, 200억달러의 파급효과가 발생)

- 또한 대도심과 인접한 연안지역 내 다수의 석유유해화학 위험시설이 입지해 있어 해저기지를 활용한 해양성 재해 대비 해양 관측·예보시스템도입이 필요

- 울산지역 연안은 대부분을 항만이 점유하여 시민이 바다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실정

- 어업권 소멸지역 어민들의 미래 먹거리 발굴, 수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어촌공간의 새로운 발전방안 모색이 필요

 

울산은 해저공간 활용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최적지

- 울산의 해저지형은 서남해안에 비해 안전성, 효율성 측면에서 비교 우위에 있음

재해 안전성: 최근 20년간 규모 3.0 이상 해저지진 발생건수 9(인천 21, 전남 19, 경북 19)

지반 안전성: 주로 암반으로 구성된 넓은 대륙붕이 발달해 있으며, 최근 20년간 해저지반 침하 이력 없음

수질 안전성: ’20년 기준 평균 조위차 27이내, 수온차 9.4로 양호한 수준

 

- 제조업 기반의 글로벌 조선해양 및 플랜트 메카로 울산항 배후지역에 산업벨트를 형성

해저도시 건설시 필요기술 개발 및 지역 연관 산업과의 상호협력이 가능함

 

 

<시사점 및 제언>

장기적으로 대규모 해역을 점용하는 계획 마련과 안정적 사업 추진을 위한 참여 주체별 역할이 중요

- 울산시: 미래 해저공간 기술 분야에 대한 모험적 사업으로 불확실성 제거를 위한 기반 마련 필요

Test-Bed(테스트베드) 해역 확보 및 인허가, 기업·기관 유치(인센티브), 정주여건 인프라 공급, 국민적 여론 조성

 

- ·: 해저공간 개발에 필요한 기술 R&D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전문인력을 양성

최적 입지 선정, 에너지 자립 핵심기술 개발, 거주공간 최적화 기술 개발, 수중구조물 활용방안(해양탐사·관측) 도출

 

- 산업계: 해저도시 건설·운영의 주도적 역할로, 조선해양·플랜트 사업 비즈니스 영역의 확장 계기를 마련

해저공간 상세 설계, 지반 안정화, 수중구조체 제작·시공, 해저공간 유지·관리(수중 통신·라이프라인 설치 등)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