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정부 모듈러주택 활성화 박차… ‘소규모 맞춤형 모듈러 공공주택’ 도입 제안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665
작성일 2023-12-13 게재일자 2023-12-13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https://www.uri.re.kr/bbs/board.php?bo_table=urban_environment&wr_id=4…

 

[울산도시환경브리프 124]

정부 모듈러주택 활성화 박차… 소규모 맞춤형 모듈러 공공주택도입 제안

이주영 연구위원/도시공간연구실

 

<현황 및 분석>

국토부, 2030년까지 연간 3천호의 공공발주 모듈러주택 활성화 추진

- 국토교통부는 모듈러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 발주물량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로드맵을 마련하고, 2030년까지 도심 내 소규모 주택사업 등 공공발주를 통해 3천호의 모듈러주택 공급을 추진하고 있음

* 모듈러주택: 창호, 벽체, 전기배선, 배관, 욕실, 주방기구 등의 자재와 부품이 선 조립된 박스형태의 모듈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 후 조립·설치하는 탈현장 건설공법(OSC·Off-Site Construction)을 활용한 주택

- 국토부는 그동안 모듈러주택 기술 개발과 공급 활성화를 위해 가양, 두정, 가리봉동, 옹진군 등 여러 공공주택에서 국가 R&D실증사업을 추진했으며, 모듈러주택 확산을 통한 스마트건설산업 활성화를 추진 중임

- 모듈러주택의 사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화 기준, 친환경건축 인증제도, 인센티브 규정 등 제도를 개선하고 공공부문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해 국내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 모듈러주택은 공장 중심의 생산과 기술 기반 산업구조 혁신으로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기 단축과 균일한 품질 확보가 가능하며,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설이 가능한 장점으로 미래건설산업의 육성분야로 기대됨

 

 

 

울산광역시 소규모 공공주택 공급 현황

- 대학생, 신혼부부, 청년 등 거주가구 특성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으로 60이하의 소규모로 건설되는 행복주택은 2015년부터 주로 LH에 의해 울산지역에 공급되었으나, 2020년 이후 울산시 및 울산도시공사가 행복주택을 공급하여 지자체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

- 이에 따라 울산시는 청년계층에게 교통이 양호하고 편의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진 도심지 내 보금자리를 공급하기 위해 청년희망주택 공급정책을 추진하여, 올해 6개소 설계를 시작으로 현재 4%인 공공주택 비율을 10%까지 확대할 계획임

- 청년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공급될 청년공공주택이 도심지 내 소형 평형대의 평면 구조와 소규모 단지 형태로 건설되고 청년 맞춤형 주거시설의 표준화가 필요함에 따라 모듈러주택 적용 가능성이 커짐

 

<시사점 및 제언>

도심지 공공임대주택 조성 시 모듈러주택 건설방식 도입 검토 제안

- 건설현장 작업이 축소되고 건설소요기간이 짧으므로 도심지 및 소형주택 등 청년 주거수요에 따르게 대응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최근 건축설계공모를 시행한 청년공공주택 이후에 공급을 계획하고 있는 청년공공주택에 모듈러주택 건설방식 도입을 검토할 수 있음

- 특히 공공발주 모듈러주택 확대의 정부정책에 대응하여 울산 향후 공공주택 건축 시 모듈러주택 모델을 적용해 비용의 절감과 기술의 도입을 기대할 수 있음

 

스마트 건설기술사업의 도입으로 지역건설산업 도약 기회로 활용

- 소규모 수요 맞춤형의 주택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지방 건설현장의 전문 건설인력 확보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 건설 여건에 따라 울산지역의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활용분야로 모듈러주택 적용 검토가 필요함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