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제사회브리프 157호]
울산 지난 5년간 마을공동체 사업단체 수 2배 증가···
마을공동체 거점공간 및 플랫폼 구축 필요
박소희 박사/경제산업연구실
<현황 및 분석>
○ 정부·울산, ‘주민의 자발적 지역문제 해결’ 위해 다양한 마을공동체사업 추진 중
- 행안부, 고용노동부, 농림축산부, 해수부, 문체부는 2003년부터 지역사회활성화 기반조성사업, 지역공동체 기반조성사업, 사회적기업·마을기업육성사업, 생활문화공동체활성화 지원사업 등을 추진 중
- 울산은 2017년 12월 28일 ‘울산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조례’를 제정해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 지원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
- 울산시·기초지자체는 ‘마을공동체 활성화 구·군 공모사업’, ‘마을계획단 공모사업’, ‘시민참여형 마을교부세 사업’,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성화 지원사업’, ‘울산형 마을만들기 시범마을 공모사업’ 등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
○ 지난 5년간 사업 참여 단체 2배 증가… 마을공동체사업 인지도·참여의사 상승
- 2019~2023년까지 구·군별 마을공동체사업 참여단체 수는 337개로 지난 5년간 당해년 참여단체 수가 약 2배 정도 증가해 마을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중인 것으로 나타남
- 마을공동체사업 인지도는 ‘알고 있음’ 응답률이 2019년 38%에서 2023년 53.9%로, ‘참여할 의사 있음’은 동년 68.2%에서 72.9%로 증가
- 울산형 마을만들기 우수사례로는 울주군 ‘청춘포레스트 마을만들기’, 중구 ‘내손으로 그리는 성안 옛 길’, 북구 ‘지구에서 지구 지키기’, 동구 ‘공동육아와 마을을 잇다! 온 마을이 놀이터! 우리가 만드는 마을 축제!’가 있음
○ 마을공동체사업 참여자, ‘협력·소통 위한 공간·정보 공유’ 어려움 호소(울산연구원 자체조사결과)
- 행정기관과의 소통 및 지원,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연계, 지역단체에 대한 정보 수집 및 공유, 주민화합 및 소통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
- 마을공동체사업에 참여한 단체 중 43개 단체가 사무실 보유현황에 대해 응답한 결과, 사무실이 없는 단체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음
⦁ 없음(45.8%) > 자가(18.8%) > 타인사무실(14.6%), 단독임대(14.6%) > 공동임대(6.3%)
<시사점 및 제언>
○ 울산 마을공동체 협력·소통 활성화 위한 ‘공동체 거점공간 조성’ 필요
- 해당지역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 참여자들이 상호 참여·협력·소통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연계 협력체계를 구축해 다양한 공용공간을 대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단기적으로 야간, 주말시간 등 유휴공공시설이 다수 발생하는 시간대를 활용해 지역 마을공동체사업 참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으로 울산시 및 기초지자체 단위의 거점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
- 마을공동체 거점공간은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자들이 사업 기획 및 추진, 주민 중심의 마을 문제 공론을 위한 사무공간으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주민, 활동가, 실무자 등의 학습체계를 구축·제공하는 마을공동체 주체 역량 강화를 위한 거점역할을 할 수 있음
○ ‘울산 마을공동체 플랫폼(안)’ 구축 통한 마을 공동체 네트워크 강화
- 마을공동체 우수사례를 전파해 신규 마을공동체 기획을 위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울산지역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자 및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할 수 있는 ‘울산 마을공동체 플랫폼(안)’ 구축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