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해양자원 연계… 헬스케어센터 조성을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1829
작성일 2021-03-31 게재일자 2021-03-31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https://www.uri.re.kr/bbs/board.php?bo_table=research_report&wr_id=124…

 

울산 해양자원 연계 헬스케어센터 조성을

울산연구원, 해양치유 모델 개발·육성방안 제안

 

시민 건강 증진 및 휴양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울산의 해양치유자원과 보건의료를 연계한 해양헬스케어센터를 건립하자는 제안이 나와 주목된다.

 

울산연구(원장 임진혁)31일 공개한 연구보고서 울산광역시 해양치유산업 육성 연구에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이 연구는 지난 2017년 해양수산부가 해양치유 가능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실용화 연구공모를 통해 전국 4곳의 협력지자체를 선정한 가운데 향후 해양수산부의 2차 공모사업에 대비해 추진됐다.

 

연구를 수행한 정원조 박사는 울산지역 해양치유 여건 분석 및 관련 자원 발굴을 바탕으로 지역에 특화된 해양치유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 산업 육성 방안을 제시했다.

 

정 박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공공보건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여건 속에서 해양치유자원과 보건의료를 결합해 시민 건강 증진 및 휴양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치유시설 건립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울산의 해양헬스케어산업은 관광, 바이오, 의료 산업과 결합 시 지역 내 파급효과가 매우 높고, 우수한 해양수산자원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내 다양한 해양치유자원을 발굴하고 조사·연구를 위한 전담조직 설치,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뿐만 아니라 전문인력 육성을 위해 해양헬스케어센터, 대학, 병원 등 산··연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원조 박사는 해양헬스케어센터 건립으로 울산형 뉴딜 공공의료 기반 강화와 한국판 뉴딜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에 부합한 기반을 갖출 수 있다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도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