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도시환경브리프 95호) 울산, 기후위기 대응 위해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관리’ 강화 필요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1659
작성일 2021-05-10 게재일자 2021-05-10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https://www.uri.re.kr/bbs/board.php?bo_table=urban_environment&wr_id=4…

[울산도시환경브리프 95]

 

울산, 기후위기 대응 위해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관리강화 필요

마영일 박사 시민행복연구실

 

<현황 및 분석>

울산 온실가스 배출량, 다른 대도시들에 비해 여전히 높음

- 2018년 기준 울산의 총 배출량17개 지자체 중 8번째

울산의 배출량은 56,699.47Gg CO2eq.3)로 전국 배출량 997,204.29Gg CO2eq.의 약 6%

울산보다 배출량이 높은 지자체는 충청남도,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인천광역시, 강원도 순임

- 2018년 기준 울산의 인구 1인당 총 배출량17개 지자체 중 3번째

울산의 인구 1인당 배출량은 49.06Mg CO2eq.로 우리나라 인구 1인당 배출량 19.24Mg CO2eq.의 약 2.6

울산보다 인구 1인당 배출량이 높은 지역은 충청남도와 전라남도

- 울산의 높은 온실가스 배출 수준은 중화학공업 중심 산업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

 

울산 온실가스 배출 특성, 일부 지표에서 긍정적 변화

- 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인구 1인당 배출량은 광역시 승격 후 약 1.5배 증가했지만, 2012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특히 GRDP당 배출량은 2000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경제활동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탈동조화(Decoupling) 가능성이 관측되고 있음

2018GRDP 10억원당 배출량은 0.77Gg CO2eq.20001.76Gg CO2eq.44% 수준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관리 강화 필요

- 2018년 울산의 비산업 부문 배출원 중 도로수송 및 건물(상업·공공, 가정) 부문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타 지자체에 비해 높지 않은 수준

도로수송 부문 배출량은 2,302.06Gg CO2eq.로 전국 배출량의 2%, 17개 광역지자체 중 15번째 수준

건물부문 배출량은 1,413.44Gg CO2eq.로 전국 배출량의 2%, 17개 광역지자체 중 14번째 수준

- , 해당부문의 1인당 배출 수준이 타 지자체에 비해 낮지 않은 수준

도로수송과 건물(상업·공공, 가정) 부문의 인구 1인당 배출수준은 전국 대비 약 1.09 1.06

 

<시사점 및 제언>

비산업 부문 배출량 관리를 위한 지자체 역할 중요

- 발전과 산업 부문을 제외한 비산업 부문의 배출관리 권한과 의무는 지자체 소관

- 상대적으로 낮지 않은 비산업 부문 1인당 온실가스 배출 수준은 전통적으로 산업 부문에 관심이 몰려있는 울산광역시 온실가스 배출관리 인식에 반하는 특성

- 비산업 부문 1인당 온실가스 배출 수준 저감을 위한 지자체 역할 중요성 대두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 평가 및 저감사업 시행 필요

-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특성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해당 결과에 근거한 온실가스 감축 정책 도출 필요

- 소분류 배출원별 저감 잠재력 평가와 비용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대책 도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이행, 주기적 평가 및 환류를 통한 배출관리 효과 극대화 필요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