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화장품 수출 급성장… “U-뷰티 활성화를”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642
작성일 2023-11-15 게재일자 2023-11-15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울산 화장품 수출 급성장 U-뷰티 활성화를

울산경제동향분석센터, 월간울산경제에서 분석 

 

최근 세계 시장에서 K(한국)-뷰티 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울산의 화장품 수출액 또한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U(울산)-뷰티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울산연구원(원장 편상훈) 울산경제동향분석센터는 15일 지역 경제동향과 경기동행지수, 전문가 제언 등을 담는 월간울산경제’ 10월호를 통해 이 같은 분석 및 결과를 내놨다.

 

센터에 따르면 울산의 화장품 수출은 최근 5년 평균 45% 성장했으며, 기간별로는 201896만달러, 2020223만달러, 2022549만달러 등을 기록했다. 올해 9월까지 울산의 화장품 수출 규모는 624만 달러로 지난해 연간 수출액을 이미 넘어선 수준이다.

 

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의 SWOT분석을 통해 U-뷰티산업을 진단하고, 이러한 성장 추세에 따라 U-뷰티산업 활성화 전략을 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U-뷰티의 강점과 기회요소로 볼 때 미나리, , 돌미역, 자수정등 지역 특산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개발과 고래, 옹기등 울산 대표 모양의 화장품 용기 출시를 비롯해 관광산업과 연계한 U-뷰티 여행코스 개발 등 독특한 제품 출시와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각광받는 K-콘텐츠의 유행을 기회로 삼아 수출 증대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뷰티의 개선사항으로는 업체의 영세한 규모, 인지도 부족, 홈페이지 미구축, 홍보 미비 등으로 분석되면서 기업 대상 전자상거래 교육 프로그램 마련, 홈페이지 구축 및 마케팅 비용 지원, 해외역직구가 가능한 해외결제시스템 구축 지원, 울산 자체 쇼핑플랫폼 구축 및 울산 뷰티브랜드 입점, 청년 활용 SNS 홍보 대행 마케팅 등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보고서의 울산 경제 동향(경기, 생산, 소비 등 9개 분야)’ 중 경기를 살펴보면, 현재 울산의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2020=100)97.6을 기록했다. 구성지표 중 수입액, 광공업생산, 제조업출하 등 지표가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소폭(0.1p) 상승했다.

 

센터는 지난달에 이어 제조업 생산과 출하가 개선되고 수출도 증가로 전환되면서 경기가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물가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소비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 전문가 리포트에서 김경원 UNIST(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울산의 AI 혁신 생태계: UNIST AI혁신파크라는 주제로 울산지역 AI(인공지능) 기술의 필요성과 산업 분야별 AI기술 적용사례와 함께, UNIST AI혁신파크의 주요 성과를 소개하고 관련 시사점을 담았다.

 

그는 UNIST AI혁신파크의 주요 성과로는 AI기반 혁신 생태계 구축, 산업체 AI전문가 양성, AI+X 산학협력 연구, AI 분야 신산업 육성 및 창업 지원 등을 소개했다.

 

, AI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울산 산업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를 가속화하기 위해 교육연구창업의 전 주기가 일체화된 생태계적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