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3D프린팅 SW분야 허브도시로’
울발연 연구보고서… 단계별 목표·전략 제시
울산을 ‘3D프린팅 SW(소프트웨어)분야의 허브 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와 구체적인 전략이 연구결과로 제시됐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은 13일 연구보고서를 통해 울산 ‘3D프린팅 SW분야’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역여건 및 국내외 현황 분석, 세부사업, 산업화 전략 등을 공개했다.
연구원은 울산이 3D프린팅산업의 주요 분야 가운데 ‘소재, 기기’의 경우 타 지역 대비 우수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나, SW는 기업지원, R&D, 인력양성 등의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울산이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규제프리존 요구 등 혁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음에도 SW 기업체 및 종사자 수가 6대 광역시 평균 이하를 기록하는 등 약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수행한 박재영 박사는 현재 국내적으로 3D프린팅산업 발전에 비해 SW분야 기술 및 인력 확보가 어려우므로, 울산은 국가 차원의 정책 및 산업방향과 예외적으로 지역에 특화된 SW분야 육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3D프린팅 SW허브 도시’라는 비전 아래 ‘R&D 중심의 기술 확보 및 고도화, 산업기반 확대 및 지원’을 울산의 목표로 제시하고, 단계별 전략 및 세부사업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설계엔진, 모델링 설계, 장비간 연계 임베디드, 점검 및 에러 복구 플랫폼, 보정 및 후처리’ 분야 등 단계별 SW 개발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학 및 R&D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유관기관, 기업연구소가 툴, 엔진을 개발하는 등 부문별 R&D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SW 인력양성 고도화를 비롯해 오픈소스 강화를 위한 인프라 확보 등 기반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세부사업으로 3D SW기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학부과정 운영, 국제대학원과정 운영 등 인력양성 고도화사업과 가상 클라우드 허브 시스템도입사업 등을 건의했다.
울산의 주력산업과 연관된 전략으로 산재중심의 가상 의료술기 3D SW 육성사업과 문화 확산용 홀로그램·VR 현실화 사업, 3D 자동차부품 튜닝사업 등을 제안했다.
박 박사는 “3D프린팅 산업이 울산의 주력산업과 원활하게 융합될 경우 제조업 혁신을 이끄는 4차 산업혁명의 불씨가 될 것”이라며 “연구를 통해 지역내 SW분야의 확산을 위한 실용적 방안을 찾고자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