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취약계층 분포에 따른 대책 필요”
울발연, 온열환자 현황 분석… 개선책 제시
울산지역 폭염피해 최소화를 위해 ‘취약계층의 공간분포를 반영한 무더위쉼터 운영, 옥외근로자 무더위휴식시간제 운영 효율화’ 등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은 3일 온열질환 신고현황을 바탕으로 울산지역 폭염취약계층과 피해현황 등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울산지역 온열질환 신고현황은 전체 신고건수 60건 가운데 남성이 44건을 차지, 여성(16건)에 비해 2.75배 높고, 남성중에서도 50대(11건)가 가장 높았으며 60대(9건), 40대(9건)가 뒤를 이었다.
온열질환 발생장소의 경우, 총 60건 중 52건이 실외에서 발생해 전국 평균보다 4% 가량 높았으며, 실외 중에서도 발생건수가 가장 많은 실외작업장에서의 발생률(43%)이 전국보다 무려 16%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연구를 수행한 김희종 환경안전팀장은 통계 및 사례분석 결과 국가 및 일반 산업단지가 입지한 울산지역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실질적인 폭염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30~60대 야외 근로자, 특히 기능·기술직을 대상으로 하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울산은 고령자보다 산업계 근로자의 폭염피해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 노인들을 위해 조성된 무더위쉼터의 운영 효율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매년 7~9월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무더위쉼터를 무한정 확대하기 어려우므로, GIS공간분포 특성 분석을 통해 ‘지역별 취약계층 대비 무더위쉼터 수와 수용인원’을 도출하고 결과에 따라 확대 혹은 감축 운영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산업계 근로자, 홀로노인 등 취약계층별 공간분포 특성을 조사해 데이터베이스화해 무더위쉼터의 운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옥외작업장 근로자와 논·밭에서 일하는 고령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무더위 휴식 시간제(Heat Break)’의 운영 효율화를 위해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시범사업 및 참여업체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김 팀장은 “질병관리본부의 온열질환 발생 통계가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실제 발생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지역 내 미등록 의료기관의 참여를 유도해 집계율을 높이고, 지역별 통계를 따로 작성해 울산에 특화된 폭염대책 마련을 위한 정보기반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