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지진피해 취약성 연구 등 필요”
울발연 계간지… 지역 재난안전 대책 다뤄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은 4일 발간한 계간지 ‘울산발전’ 겨울호를 통해 ‘울산지역 재난안전 대책’과 관련한 국내외 이슈를 제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소희 박사는 계간지 기획특집에서 울산은 지역내 국가산업단지, 근거리에 원자력발전소가 입지한 만큼 지진에 의한 2차 피해에 대비한 종합 방재대책과 평상시 교육·훈련을 최우선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대응체계 및 문제점을 예로 들며 평상시 실제에 가까운 대피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지역주민 또한 진지하게 훈련에 참여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대규모 주민이동이 필요한 대피를 염두에 둔 ‘교통수단·대피장소·의료시설 확보, 대피처의 물·식량 확보, 사회적 약자 고려’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계간지에서 송완영 대구대학교 측지정보과 교수는 지난해 9월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이 지역과 울산에 대부분의 피해가 집중됐으며, 울산에 나타난 피해(703건) 중 건물균열(270건)과 지붕파손(166건)이 대부분을 차지한 점에 초점을 맞췄다.
이와 관련해 송 교수는 건물의 지진피해 취약성에 대한 국내분석 사례가 없으며, 건물의 구조적 측면에서 지진취약지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울산지역 지진피해 취약지 분석을 위해 지질도의 지층특성 자료와 건축물대장의 건물특성 자료에서 취약성 인자를 선정해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합산하기 위한 방재주제도 제작기법을 적용하는 처리방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