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소형폐가전 수거반·수거함 설치 확대를(4.6)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747
작성일 2016-04-06 게재일자 2016-04-06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http://www.udi.re.kr/bbs/board.php?bo_table=research_report&wr_id=1078…

소형폐가전 수거반·수거함 설치 확대를

울발연 연구보고서폐가전 회수율 제고방안 제시


울산지역 폐전기·전자제품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제도 개선, 회수체계 개선, 교육·홍보 강화3가지 큰 틀의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 김희종 환경안전팀장은 6일 발간한 연구보고서 울산지역 폐전기·전자제품의 회수율 제고 방안에서 지역여건 분석, 정책 제언, 개선방안 등을 다뤘다.

 

김 팀장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0년 한 해 동안 약 115톤을 기록한 울산지역 폐전기·폐전자제품 수거량이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2014년에는 11.3배 증가한 약 1,301톤까지 상승했다며 지역현황을 소개했다.

 

이처럼 배출량이 늘어나는 가운데 공동주택, 단독주택 등 주거형태에 따라 배출경로에 대한 인지도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적정 배출경로로 유도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관련제도 개선차원에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소형가전, 폐휴대폰, 대형가전에 대한 재활용 수거 실적을 평가해 공무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인구 밀도가 높은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폐가전 전용수거함 설치 및 적극적인 참여, 협조 강화를 도모하는 협약 또는 실무계약을 체결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활동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수거체계 개선차원에서 현재 남구가 운영 중인 소형폐가전 전담수거반을 중구, 동구, 북구, 울주군에도 편성하고, 소형폐가전 전용수거함을 확대 설치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종량제 봉투나 고물상 등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소형폐가전을 올바른 배출경로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시민 편의성을 도모하는 측면에서 재활용품 분리수거 시 함께 배출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지역에서 개최되는 축제 및 행사장에 소형폐가전 전용수거함을 설치하고, 일정 크기를 제한해 우편으로 무상 수거하는 방안도 내놨다.

 

교육·홍보 강화차원에서는 초··고교의 가정통신문을 이용한 폐가전 처리 안내 등 캠페인 활동을 벌이고, ·군별 전용수거함을 홍보부스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건의했다.

 

김 팀장은 “2014년 시행된 환경부의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목표관리제와 관련해 지자체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기라며 연구를 통해 울산지역에 적합한 소형폐가전 회수율 제고방안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