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문화 정체성·융성방안 제시
울발연 계간지 봄호 발간… 전문가 의견 담아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은 5일 발간한 계간지 울산발전에서 ‘울산 문화예술 정체성 및 융성방안’을 다뤘다.
계간지 기획특집에서 이선철 감자꽃스튜디오 대표는 도시발전의 패러다임을 전제로 바라볼 때 최근 들어 울산에서 문화, 생태, 교육 등의 관심이 커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울산시민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공동체 및 기업과 산업단지의 참여를 위한 지역 거버넌스 구축과 실천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기이며, 이미 울산의 기업들은 어느 문화계 못지않게 시민사회에 문화로 공헌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계간지를 통해 김광래 울산문화예술회관 관장은 수입구조의 다변화가 문예회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단순히 수익사업을 늘리기 위해 신규사업을 개발하기보다는 문예회관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하며 경영성과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 올해 울산문예회관 운영의 핵심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소외계층에 양질의 공연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수요자에 맞는 공연상품을 개발하는 등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기획특집에서 울산시무형문화재 제4호 허진규 옹기장은 옹기 수요와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부족해 울산옹기의 전승과 계승에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며, 옹기 후계자 양성과 옹기장의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역논단 코너에서 연구원 미래도시연구실 김상우 박사는 정부가 선행하고 있듯이 울산도 교육, 생활 속의 문화예술공간 확대, 시민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시민이 스스로 생활 속 예술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황시영 원장은 “울산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융성을 위해 남은 것은 모두의 노력”이라며 “정책 실현을 위한 행정담당자들의 노력과 함께 시민의 관심, 문화·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