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미래성장동력, 산업생태계 공존·경쟁가치 구현부터
울발연, 국가계획에 따른 지역산업 발전방향 제언
국가 미래성장동력 육성계획에 따른 울산의 지역산업 발전을 위해 융복합소재, 신·재생에너지 와 같이 파급효과가 큰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산업생태계의 협력과 연계, 공존과 경쟁이 뿌리내릴 수 있는 상생의 기업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 황진호 창조경제연구실장은 4일 발간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가 미래성장동력 육성계획에 따른 울산 지역산업의 발전방향 및 세부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서 그는 국가 미래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 활동의 성과로 볼 수 있는 ‘특허출원’ 관련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융복합소재와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에 특허출원이 집중돼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외에 스마트 자동차, 심해저 해양플랜트,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분야의 경우 특허출원 비중이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산업정책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산업의 융합화’와 ‘지역산업생태계적 접근’에 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세부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산업융합화’에 대한 제언으로는 울산이 이미 나노융합 소재 및 부품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왔으며, 이러한 흐름에 덧붙여 융복합소재 관련 특허출원이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므로 이 분야의 특허등록, 사업화 등의 지원체계를 전문화하고 강화해 소재 관련 산업을 보다 적극적이고 집중적으로 육성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분자 소재와 IT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3D프린팅 소재 분야를 적극 육성하고, 친환경에너지 사용 확대 및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에 대한 효율성 개선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을 적극 육성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울산은 ICT융합 관련 산업수요 및 충분한 잠재여건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 분야 육성을 위한 중장기적 마스터플랜 수립이 필요하며, ICT융합의 대표적 기반기술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지원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건의했다.
‘지역산업생태계적 접근’ 방향에 있어서는 지역산업생태계의 협력과 연계, 공존과 경쟁의 가치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산업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며, 상생의 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선도기업 발굴 및 역할 강화 유도정책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지역산업생태계의 역량 강화를 위해 컨트롤타워 설치의 필요성이 있으며, 창조경제협의회가 지역의 혁신 거버넌스로 자리매김하고 실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역할과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 실장은 “국가 미래성장동력 육성계획에 따른 울산의 내재적 성장동력을 찾아야 할 시기”라며 “무엇보다 납품업자와 구매자, 생산자와 소비자 등 많은 주체들이 자연스럽게 ‘연계와 협력’을 하고 ‘상생’하는 지역산업생태계 구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