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보육 확대 등 울산여성 경력유지 방안 제시
울발연 연구보고서, 여성 근로현황·설문 결과·정책제언 담아
울산지역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저조한 현상과 관련해 경력단절의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보육 및 돌봄에 대한 정책을 확대하고 고경력·전문직 근무경험자들을 위한 일자리를 개발하는 등 정책적 극복방안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 기획경영실 박혜영 박사는 1일 ‘울산 여성 경력유지를 위한 정책 방안’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발간, 지역 여성들의 근로현황과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등을 통한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서 박혜영 박사는 통계청 분석결과 2014년 3분기 울산지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0.1%를 기록, 전국 평균(52.0%)보다 낮고 서울을 포함한 7대 도시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는 점을 들며, 경력유지를 위한 환경 조성 및 지역 차원의 특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자체설문 결과 현재 근로 중인 여성응답자(256명)의 50%가 최근 가사나 집안일, 자녀의 성적 등을 이유로 사직을 고려한 적 있으며, 비슷한 이유로 동일 직장 혹은 동일 직종에 근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연구 결과 지역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 저조 및 경력단절 현상은 울산의 주력산업이 남성위주의 고용구조를 띄고 있는 점과 직업 유지시 자녀보육·돌봄 어려움, 모성보호제도 사용 어려움, 고학력·전문직종 부족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며, 이에 대한 정책방안을 제안했다.
박 박사는 여성 경력유지를 위해 현 보육 및 돌봄 정책을 확대·강화하고, 세부적으로는 정책대상을 영유아에서 중학생으로 확대할 것과 직장보육시설 설치 의무화 확대, 야간돌봄·24시간 돌봄제도 보완 등을 주문했다.
또한 여성·가족·고용·보육에 대해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 기관별로 분산된 기능 및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며 협의체계 구성, 운영정보 공개를 통한 ‘원스톱 서비스 통합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을 건의했다.
이와 함께 육아휴직제도 시행의 보완책으로 비정규 여성근로자 지속 활용성 강화를 위한 대체인력투입 및 대기업 여성근로자 육아휴직 기간 연장(3년)을 제안했으며, 더불어 근로환경, 처우 형평성, 회식문화개선 등 가족친화문화 확산에도 초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연구개발, 전문행정, 전문사무 등 고경력, 전문직종 여성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하며, 공공기관과 민간기업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연계체계를 구축해 경력단절여성을 대체인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경력단절 여성들 간의 ‘블루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잡 셰어링 네트워크(Job Sharing Network)를 마련해 이들을 위한 주거지 인근 일자리 정보, 기업의 여성근로자 기피 요인 분석 및 공동해결책 모색 등을 유도할 것을 강조했다.
박혜영 박사는 “이번 연구는 울산지역 여성의 일과 경력유지를 위한 현실적인 환경 조성 및 지원방안을 찾기 위해 실시했다”며 “울산의 여성 및 저출산 극복과 지속가능한 정책적 자원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