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해양플랜트 설계인력 양성·해체분야 진출해야”
울산발전연구원, 지역 해양플랜트산업 현황·육성방안 연구
울산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을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설계엔지니어링 전문인력 양성, 해양플랜트 해체시장 진출 등 종합적 정책방안을 제시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 창조경제연구실 황진호 박사는 6일 ‘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의 현황과 육성 방안’이라는 주제로 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의 성장잠재력을 일깨우기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울산 해양플랜트산업의 장기적 성장전략 수립을 위해 조선해양산업의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고려하고 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을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에서 황 박사는 울산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의 세계시장 진입을 위해 설계엔지니어링 전문인력 양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기반으로 삼아야 하며, 해양플랜트 지원선박의 기자재분야와 해양플랜트 해체시장 진출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국내 해양플랜트 기술자립화를 위해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기본설계 및 엔지니어링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며, 해양플랜트의 운반·설치, 수리·유지·보수, 해체, 개조 등 서비스 분야에 진출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울산의 해양플랜트기자재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조선해양기자재 장수명 기술지원센터 유치 및 그린선박기자재 실증화센터를 구축하고, 조선해양 인더스트리 4.0ˢ 등을 적극 추진하는 등 연구·시험인증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황 박사는 아울러 해양플랜트기자재 국산화 지원 및 밴더 등록, 사전적격심사(PQ) 등 시장진입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중소·중견기자재업체들이 협동·협업화를 통해 자생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울산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과 조선해양기자재 공동물류센터 설립 및 지원을 제안했다.
또한 조선해양산업의 산업정책과 지원사업에 대한 거점 기구로 조선해양플랜트산업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역내 해양플랜트 뿐 아니라 조선해양산업 전반에 이르는 전문 지원기구와 조직이 부재하므로 울산조선해양산업지원센터 설립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황진호 박사는 “울산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은 세계적 수준의 선박건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0년대 초부터 지역산업진흥사업 차원에서 육성되고 있다”며 “성장잠재력이 충분히 축적된 상태이지만 고부가가치 핵심기술력이 떨어져 수익성이 대체로 낮은 상태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조선해양플랜트산업 기반구축을 위한 혁신자원은 울산보다는 부산, 경남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어 연구개발 및 사업화 역량이 다소 취약한 편”이라며 “이를 보완하면서 지역 해양플랜트산업의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