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가구의 ‘일-가정 양립’ 위해 직장 보육시설 확대돼야
- 울산발전연구원, 울산 맞벌이 가구의 보육욕구에 따른 정책방안 연구 -
울산지역 맞벌이 가구의 보육지원을 위해 직장 보육시설 설치 확대와 노인인력을 활용한 아동 돌봄 서비스 도입 등 다양한 정책 제안이 나왔다.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사회연구실(여성가족정책센터) 박혜영·이영란 박사는 울산지역 맞벌이 가구의 보육실태 및 욕구를 파악해 그에 맞는 보육정책을 제시한 연구보고서 「울산 맞벌이가구 보육욕구에 따른 정책방안 연구」를 30일 발간했다.
2011년 통계청에 따르면 울산의 맞벌이 가구는 전체 약 27만 유배우가구(배우자가 있는 가구) 가운데 37.8%인 10여만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맞벌이 가구(100가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육아휴직제도 이용경험에 대해 남성의 90%는 이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반면 여성은 64.1%가 이용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응답자의 자녀 가운데 절반 수준인 50%가 어린이집에서 보살펴지고 있으며 다음으로 유치원 40%, 친인척 보육 19% 순으로 파악됐다.
현재 이용 중인 보육시설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선 ‘집과 가까운 거리’가 3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이어 ‘기관에 대한 신뢰’가 24.1%로 나타났다.
직장보육시설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결과 76.5%가 본인의 직장생활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으며 23.5%는 도움이 되는 편이라고 응답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희망하는 육아지원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40.8%가 ‘시설 이용 시 맞벌이가구의 우선 입소’를 원했고 다음으로 ‘야간보육시설 및 24시간 보육시설 확대’(34.7%)를 요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울산지역 맞벌이 가구의 보육지원을 통한 ‘일-가정의 양립’을 추구하기 위해선 직장보육시설 설치 확대와 영유아의 일시적 또는 비정기적 보육을 위한 ‘시간제보육시설 도입’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박혜영 박사는 보고서를 통해 울산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사택문화처럼 직장어린이집 설치장소를 사업장 내로 한정하지 않고 근로자가 밀집돼 있는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집을 설치하는 한편 기업 운영비 부담 완화를 위해 사업장 인근의 민간보육시설과 기업간 협약을 통해 기업은 민간시설을 지원하고 운영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은퇴한 노인인력을 활용해 아파트 단지나 동네별로 시간제 일시보육을 담당하는 ‘우리동네 할머니·할아버지’ 프로젝트를 도입, 맞벌이 부부에겐 보육 부담을 줄이고 노인들에겐 일자리 제공의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밖에도 현재 남구에서 운영중인 육아지원기관인 ‘영유아플라자’를 지역 전체로 확대시켜 이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보육정보 제공, 가족친화기업문화 조성 등도 함께 제안했다.
박혜영 박사는 “울산의 전체 어린이집 893곳 가운데 직장어린이집은 14곳에 불과한 반면 시설 이용만족도는 100% 수준에 이를 정도로 높은 만큼 직장보육시설의 설치 확대가 요구된다”며 “또한 맞벌이 가구의 65%가 경제적 이유 등으로 국공립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선호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충과 육아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