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시 세일즈외교 성과 이어갈 ‘지방외교 역량 강화’ 필요(경제사회브리프 141호)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955
작성일 2023-06-07 게재일자 2023-06-07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https://www.uri.re.kr/bbs/board.php?bo_table=periodical&wr_id=505

 

[울산경제사회브리프 141]

울산시 세일즈외교 성과 이어갈 지방외교 역량 강화필요

김혜경 박사 / 경제산업연구실

 

<현황 및 분석>

국가외교의 사각지대를 극복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지방외교 수요 급증

- 지방자치법 개정으로(20221월 시행), 근거 없던 지자체 국제교류 활동의 자치분권 기틀 마련

13지방자치단체의 사무 범위국제교류 및 협력업무 신설, 지방정부 중심 외교활동 최초 명문화

 

- 지방외교의 법적 근거가 미비한 상황에서도 지방정부는 22년 기준 86개국 1,360개 도시와 교류협력을 추진하여 중앙정부의 외교 사각지대를 실질적으로 해소해 왔음

- 지방정부들의 국제교류 관련 조례는 총 125건이며, 이중 최근 5년간 34%가 제정되었고, 58.4%가 개정되는 등 급증·급변하는 지방외교 정책수요를 지방정부가 빠르게 수용하고 있음

- 지방외교는 문화 중심의 국가외교와 달리, 지역발전(경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지방의 다양한 경제 환경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다층적·다원적 외교의 주요 수단으로 부각

 

울산시 해외사절단(단장 김두겸 울산시장, 233), 중동에서 지역정책 맞춤형 세일즈 외교 성과

- 아랍에미리트(UAE) 최대 국영 석유회사인 애드녹과 수소, 암모니아 등 탄소중립산업 공동 협력 타진

애드녹이 생산한 블루수소를 에너지 허브인 울산신항 시설에 저장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는 방식의 협력사업

- UAE의 이코노믹그룹홀딩스(EGH)와 투자 및 경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MOU 체결

- 사우디아라비아 국영기업 아람코와 샤힌프로젝트* 등 장기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한 협력·지원 논의

*글로벌 종합에너지·화학기업인 아람코가 한국(S-OIL)에 투자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사업(92,580억원)

 

울산 세일즈외교 성과 연장을 위해 광역시 위상에 맞는 교류역량 확충절실

- 울산의 공공외교 및 국제개발협력 등 지방외교 예산 규모는 특광역시 중 하위이며, 공공외교 단일 사업의 평균 예산은 타지역의 47% 수준(8.2천만원)으로 양질의 사업추진에 한계를 내포

- 울산시의 추진 사업 수 및 관련 조례 수로 판단한 지방외교 활동의 다양성과 적극성 또한 높지 않아, 다양한 지역 수요 대응에 제한적인 상황

- 주무부서의 조직 규모와 세분화 수준이 특광역시에 미치지 못해 국제교류·협력 사업의 운영 효율성과 전문성 제고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예상

 

<시사점 및 제언>

산업, 환경 등 비()전통분야 사업 발굴을 통한 교류활동의 외연 확장이 필요한 시기

- 21세기 외교는 세계평화 등 전통안보를 넘어, 환경·기후·과학기술·문화·지역발전 등으로 확산일로

- 울산시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사업의 질과 양, 그리고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교류·협력 분야 사업기획 역량의 확충이 긴요

 

물꼬 트인 울산형 세일즈외교, 지속가능성 확보 위해 전담조직 설치 필요

- 울산시는 국제교류 관련 인력, 조직, 예산 등의 기초자원 및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부족한 상황

- 이에 지방외교·ODA·국제기구와의 협력 및 민간교류 사업을 전문적·체계적·지속적으로 운영할 전담기관(조직) 설치 등 공무원 순환보직 제도의 한계 보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산업수도 울산의 정체성을 토대로 국제교류모델 브랜드화 적극 검토

- 개도국이 가진 한국의 지역발전·기술혁신 경험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기후환경기술 수요 증가에 주목하고, 한정된 지역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울산의 정체성에 기초한 교류사업에 집중 필요

- 울산의 경제발전, 생태복원, 저탄소산업단지 운영 등의 경험을 활용한 경쟁력 있는 교류모델 구축이 유효한 환경으로, 보편성과 글로벌 확장성을 갖춘 울산형 교류정책을 구체화할 적기

- 사업추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울산국제개발협력센터, 울산탄소중립지원센터 등 지역전문기관과 연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