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제조업 생산지수, 車 생산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도 수준 회복
- 울발연 경제동향분석센터,『월간 울산경제의 窓』12월호 발간 -
울산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생산이 늘며 지역 전체 제조업 생산이 전년 같은 기간 수준으로 회복했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하동원) 경제동향분석센터가 30일 발간한 『월간 울산 경제의 窓』12월호에 따르면 10월 울산 제조업 생산이 전월보다 6.7% 늘어나 전년 같은 기간과 동일한 111.7(계절조정)을 기록했다.
또한 출하지수 역시 111.2(계절조정)을 기록하며 전월보다 4.6%가 증가한 반면 재고를 113.2(계절조정)을 기록, 2.2% 감소했다. 재고의 감소는 제품 생산속도가 출하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발생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는 지난 9월의 극심한 부진에서 비롯된 기저효과가 아닌 미국을 비롯한 유럽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는 추세와 맞물려 울산의 제조업도 그간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울산의 대표적 주력산업인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성과가 눈에 띄어 이 부문의 생산지수는 136.6으로 전월대비 54.2%, 전년 같은 기간보다 9.1% 증가했고 출하지수는 132.3으로 전월보다 50.7%, 전년 같은 기간보다 9.6%가 증가했다.
이러한 생산 및 출하 증가는 수출로도 이어져 10월 울산의 자동차 수출은 16억8,2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8.1% 늘어났고, 자동차 부품은 3억8,1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4.1%가 늘어났다.
또한 자동차 업계의 對美 수출의존도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의 결과로 10월 사우디아라비아로의 수출이 2억2,6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8.7%가 늘어나는 등 호주를 제외한 캐나다, 러시아 연방 등의 국가에서 수출이 증가하며 수출국 다변화를 이루고 있다.
경제동향분석센터 정승 박사는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4.1%를 달성하며 확실한 회복의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앞으로 울산지역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관련기업들의 수출전망은 긍정적으로 보인다”면서도 “수입차의 내수부문 잠식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축소 등 위험요소가 존재하므로 자만하지 않고 앞으로의 세계 경제동향에 주의하며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울산지역 공장과 교육연구시설,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 등의 건축허가와 건축물 착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2.7%, 112.6%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울산발전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매월 울산의 주요 경제동향과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경기와 무역, 생산, 투자, 소비 등 지역 경제를 5개 분야로 나눠 현 상황과 미래 전망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웹진『월간 울산경제의 窓』을 서비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