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중심의 ‘대도시권’ 형성으로 지역 거점도시 발전 기틀 마련해야 (5.22)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4985
작성일 2013-05-23 게재일자 2013-05-23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울산 중심의 ‘대도시권’ 형성으로 지역 거점도시 발전 기틀 마련해야
- 울발연, 울산과 연계성 높아진 ‘경주, 양산, 기장’ 포함한 대도시권 발전방안 이슈리포트 발간 - 

 

 “새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 ‘중추도시권’ 설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앞두고 이에 대응해 울산도 중심도시로서 새로운 대도시권 설정을 통해 부산, 대구 등과 같은 지역 거점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합니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하동원) 연구기획실 정현욱 박사는 울산과 주변지역 간 공간적 ․기능적 연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슈리포트 ‘울산 중심 중추도시권 설정과 도시발전 방안’을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정 박사는 이슈리포트를 통해 최근 5년간 인구주택총조사의 통근통행자료를 분석한 결과 울산과 경주, 양산, 기장 등 주변지역 간 연계성이 더욱 강화되어 울산 중심의 대도시권(중추도시권)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정 박사는 분석에서 주변지역에서 중심도시로 이동하는 비중을 나타낸 직업의존도(통근율)는 통상적 대도시권 설정 기준인 5%를 적용할 때 양산시가 7.73%로 가장 높고 이어 기장군이 2005년 5.5%에서 2010년 7.7%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또 중심도시에서 주변지역으로 이동하는 비중을 나타낸 직업점유율(역통근율)은 경주가 8.0%(2005년)에서 9.0%(2010)로 증가해 울산은 지난 5년간 양산과 함께 경주 ․ 기장과의 기능적 연계가 강화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 박사는 “울산과 인접지역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해보면 북구에 주거하면서 직장은 경주 외동에 두거나 혹은 양산, 기장에 주거하고 직장은 울주군에 두는 형태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울산대도시권 발전을 위해서는 울산 북구에 주거 ․ 교육, 서비스 기능을 강화해 주거 중심지로 육성하고 경주 외동 지역은 산업기능을 높이는 한편 양산과 기장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울주군 웅촌에 위치한 고연공업단지의 재정비와 함께 도심과 외곽경계지역의 주거기능 보강 등 중심기능을 높이는 전략이 요구 된다”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정 박사는 새 정부의 ‘중추도시권’ 설정에 앞서 △시 ․ 도 경계를 넘는 도시권 설정 전제 △기존 광역경제권의 확대 개편 △다양한 도시권 형성을 위한 중복권역 인정 △도시권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고려 등에 대한 선행 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슈리포트에는 △‘울산대도시권’ 설정 연구 필요성 대두 △자료 및 접근방법 △울산 중심 중추도시권 설정과 연계 특성 등의 연구가 담겨져 있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