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발연, 울산발전을 위한 새 정부의 국정운영 7대 과제 제안
-계간지 「울산발전」‘박근혜정부 출범, 울산의 과제’ 발간-
울산발전연구원이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를 국정비전으로 제시한 박근혜 정부를 향한 지역사회의 분야별 정책 적용방안을 제시했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하동원)은 14일 발간한 계간지「울산발전」봄호 ‘지역논단’을 통해 향후 5년간 국정을 이끌어 나갈 박근혜정부가 제시한 국정목표를 토대로 울산의 경제·사회·문화·복지·교육·안전 등 각 분야별 7대 발전과제를 제언했다.
7대 과제는 크게 ▲일자리중심의 경제정책 ▲고령화시대 노후생활복지 ▲가족복지 ▲지역 평생학습비전 ▲문화도시 실현 ▲통합안전망 구축 ▲생활문화공간 조성 등으로 요약된다.
먼저 새 정부 경제정책의 핵심으로 꼽히는 ‘창조경제’와 관련, ‘새 정부의 경제정책 변화와 울산의 대응방향’을 통해 울산경제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의 최우선 과제로 일자리창출과 창조인재육성을 주문했다.
이어 고령화시대 윤택한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새 정부의 복지정책 기조를 지역에 적용하는 방안을 담은 ‘새 정부의 노후생활 국정과제’와 ‘울산형 가족복지정책’을 제시했다.
또 새정부의 평생교육관련 핵심정책을 토대로 울산평생교육진흥원의 전략과 비전을 담은 ‘평생학습도시를 넘어 행복도시로’와 3대 국정과제로 제시된 문화융성과 관련, 일상 속 누구나 누리는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의 주문을 담았다.
이 밖에도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안전’과 관련해 울산형 통합 안전망 구축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 주거와 공원, 녹지, 하천 등 일상 속 생활여건 개선을 위한 울산의 품격있는 도시공간조성 정책 방향도 제시했다.
특히 울발연이 제시한 ‘울산의 7대 과제’는 각 연구원들이 지역의 시급한 현안에 대한 상황분석과 예측, 기대효과 등을 각 분야별 핵심주제로 담아 울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향후 5년간 새 정부의 국정운영목표와 부합시켜 접근한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한편 이번 「울산발전」에 함께 실린 기획특집 역시 박근혜정부를 향한 지역사회의 분야별 정책적용방안을 모색해 국회예산처 신후식 박사의 ‘창조경제와 한국경제의 방향’, 울산대학교 오승환 교수의 ‘박근혜정부의 사회복지정책과 울산광역시의 과제’, 경남대학교 박경희 교수의 ‘학생과 교원, 학부모가 행복한 학교를 위한 울산시의 준비’, 안전행정부 박영진 재난정보팀장의 ‘박근혜정부, 여성의 섬세함으로 안전을 말한다’ 등의 내용을 함께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