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자랑 태화강, 경관관리 ‘가이드라인’ 제시
-울산발전연구원, 태화강변 경관관리 실행 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
태화강은 울산의 젖줄이며 생태 복원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휴식․여가공간이 있어 많은 시민들이 찾는 도심의 녹색공간이다. 지난 2004년 ‘에코폴리스 울산선언’ 이후 생태강으로 변모한 태화강변을 중심으로 주변에 많은 개발 사업들이 일어나고 있다. KTX울산역 역세권개발, 반천․반송 일반산업단지개발, 굴화 장금지구 택지개발사업 등 대규모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들 사업의 특성상 경관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때문에 ‘경관법’ 제정 이후 수립한 「울산광역시 경관기본계획(2010)」과 「울산 광역시 산업도시색채 정립 및 체계화(2011)」, 「가로환경시설물 가이드라인(2010)」 등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태화강변으로 형성되는 건축물과 도시기반 시설물들에 대한 경관관리도 체계화하고 관련 사업 발굴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욱 친숙한 태화강을 만드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
태화강변의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관리위원회 심의기능을 강화하고 역사문화자원 복원을 통한 태화강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한편 교량 리모델링 사업, 강 상류의 산업단지 경관관리 등 체계적인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하동원) 도시환경연구실 변일용 박사는 태화강변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시설물의 조화로운 스카이라인, 디자인, 색채, 야간경관 등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경관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태화강변 경관관리 실행방안 연구’ 보고서를 13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변 박사는“태화강 경관관리를 위해 태화강변 경관관리구역 내에 건축물 설계시 주요 조망점에서 조망대상을 바라볼 때 가시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뿐만 아니라 “산림지역에 건축할 때에는 경관 관련한 관리기준 강화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또한 변 박사는 태화강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방안으로 현재 시험 운행한 뗏목 체험을 상시로 전환하고 과거 운행했던 나룻터를 복원, 운행하여 시민들에게 향수를 찾을 수 있게 하는 등 태화강의 역사를 되새길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또 “태화루 건립 후 태화루를 울산을 대표하는 하나의 랜드마크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재 태화루 주변지역의 대형 입간판과 혼란스런 경관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변 박사는 “태화강에는 산책길과 수변공간 공원 조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면서 “현재 설치돼 있는 교량들에 대해 디자인을 개선하는 등 교량을 리모델링해
태화강의 이미지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태화강 상류지역에 조성되었거나 조성 중인 산업단지의 경관개선을 위해 생육이 빠른 교목 등을 조성하고 지붕 등에 색채관리를 통해 생태도시로서의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