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물가상승의 주범, 식음료품·음식부문 가격상승 억제 위한 유통구조 개선 필요하다
-울산발전연구원, 지역 물가안정을 위한 유통구조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발간-
울산지역 물가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식·음료품과 음식부문의 가격상승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 부문의 가격 억제를 위해 지역 유통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하동원) 연구기획실 김문연 박사는 울산지역 물가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음료품과 음식부문의 가격 안정화를 위한 지역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담은 ‘지역물가 안정을 위한 유통구조 개선방안-울산광역시 고물가 원인과 해결방안 연구’ 보고서를 17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는 울산의 물가상승에 대해 지난 2002년부터 최근까지 어떤 부문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어떤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울산은 지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소비자물가지수 12개 품목 가운데 식·음료품, 음식부문 등 2개 부문이 물가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는 울산이 지역 물가안정을 위해 식·음료품과 음식부문의 가격상승을 억제하는 전략마련과 함께 유통구조 개선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김 박사는 보고서에 유통구조 개선 방안으로 시기만 늦출 뿐 실질적 효과는 미지수인 공공요금 억제 정책은 지양하고 △농협하나로마트 개장, 도매시장 개편 등 기존 유통구조 개혁과 함께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직거래 활성화 △합리적 가격을 유도하는 착한업소 확대 추진 등 중장기적 물가 안정전략 마련을 제시하고 있다.
김 박사는 “울산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2.5%대의 물가상승률을 보이며 7대 도시 중 중간 수준을 유지해 오고 있다”며 “무엇보다 식·음료품 부문에서 물가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아 이를 위해선 장기적 관점에서 유통구조의 혁신 전략을 마련하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