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도시환경브리프 119호]
울산 베이비부머 유출 방지 위해 ‘특화형 전원주택단지’ 조성 필요
정현욱 박사/도시공간연구실장
<현황 및 분석>
◯ 울산, 베이비부머 비중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아
-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를 맞이하고 고령인구로 진입하고 있으나, 은퇴와 함께 새로운 제3의 인생을 기대하며 활동적인 노후생활을 선호(권오정, 2021)
*베이비부머는 6·25 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격하게 증가한 1955년부터 1963년 출생자를 지칭(2021년 기준, 만58~66세)
◯ 울산 베이비부머 지역 간 인구이동은 순유출로 나타나… 최근 3배 증가
- 2021년 기준, 울산 베이비부머 인구이동(전·출입) 규모를 살펴보면 총전입은 1만2,479명인 반면, 총전출은 1만4,111명으로 1,632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남
- 2015년 순유출 -493명과 비교할 때, 순유출이 3배 이상 증가했으며, 순유출 규모가 큰 지역으로 경북, 경남, 경기도 순으로 조사됨
◯ 울산 베이비부머 유출, ‘저렴한 지가·전원생활’ 위한 인근지역 선호 영향
- 순유출 규모가 큰 경북(-750명), 경남(-288명)을 중심으로 세부 지역을 살펴보면, 경북은 경주(-407명), 경남은 양산(-75명), 밀양(-53명) 등의 순으로 조사됨
- 전출사유 중 주택사유가 전체 30.7%를 차지하는 것을 볼 때, 울산 인근지역으로의 전출은 토지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자연환경이 양호한 곳 등의 전원생활을 영위하기 좋은 곳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
<시사점 및 제언>
◯ 울산 베이비부머 유출 방지 위해 ‘수요 반영한 특화형 전원 주택단지’ 조성해야
- 울산 베이비부머의 타지역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베이비부머 수요를 반영한 전원형 주택단지 조성이 요구됨
- 울산은 해양 및 산악자원, 그리고 도심 인근의 개발제한구역 등 지역만의 특화된 전원형 주택단지를 개발 가능한 곳이 상당히 많이 분포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난개발 방지 및 기반시설 고려한 ‘전원주택단지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
- 세종시는 소규모 난개발 발생을 방지하고, 전원주택 개발 수요를 계획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비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전원주택단지 조성을 위한 ‘세종특별자치시 전원주택단지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
- 또한 도시계획 조례(20조 2항)에 ‘세종시 전원주택단지 조성기준’을 적용해 개발행위허가 규모 제한 완화를 받도록 하고 있음
◯ “중앙정부 추진사업과 연계한 사업 검토를”
- 베이비부머 세대의 증가에 대응하여 중앙정부가 ‘한국형 은퇴자 주거복합단지의 사업유형(K-CCRC)과 시범사업’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므로, 향후 이를 활용한 사업추진 검토도 고려
*2020년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 K-CCRC에 관해 발표
*한국형 은퇴자주거복합단지(K-CCRC: Korea-versio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