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도시환경브리프 120호]
탄소중립 울산 실현,
‘지역별 배출 특성’ 고려한 감축전략 필요
마영일 박사 / 안전환경연구실
<현황 및 분석>
◯ 2018년을 정점으로 울산 구·군 온실가스 배출량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 추진과 코로나19 등 복합 요인의 영향을 받아 소폭 감소 경향
- 2020년 중·남·동·북구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대비 각 3.5%, 10.2%, 8.7%, 16.2% 감소
• 중구는 연료의 직접연소 또는 원료의 사용으로 인한 직접배출량은 증가했으나 외부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열’ 이용으로 인한 간접배출량이 더 크게 감소해 전체적인 배출량이 감소
• 반면 북구는 연료의 직접연소와 전력의 이용에 따른 배출, 즉 직접배출과 간접배출 모두 15% 이상 감소
• 동구와 남구는 직접배출은 큰 변화가 없지만, 간접배출이 각각 14.6%, 20.8% 감소
- 울주군의 경우 간접배출은 소폭 감소한 반면 직접배출이 크게 증가해 전체 배출량이 약 9% 증가
◯ 울산의 온실가스 배출은 산업 특성에 따라 남구와 울주군에 집중돼 있고, 지역별 배출 특성에 차이가 존재함
- 화석연료 연소 비중이 큰 석유화학공업과 비철산업 등이 집중된 남구와 울주군은 직접배출 비중이 각각 83.5%, 73%로 매우 높음
- 북구 및 동구는 자동차, 선박 제조 등과 같은 전력 활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산업이 집중됨에 따라 간접 배출 비중이 각각 52.1% 및 53.7%로 소폭 높음
◯ 지자체에 관리 권한 및 의무가 있는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은 남구, 울주군, 북구, 중구, 동구 순으로 높음
- 연료 연소 중심의 취사, 난방, 급탕, 내연기관 중심 도로수송에 따라 직접배출이 상대적으로 높음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은 배출비중 상위 90% 이상을 차지하는 배출원들의 집중 관리를 통해 가능
- 중구: 도로수송, 건물 및 시설의 직·간접 배출 관련 6개 배출원
- 남구: 석유화학 관련 산업의 직접 배출, 전기 및 열 생산, 냉매 사용 공정 등 13개 배출원
- 동구, 북구: 기계 제조 관련 산업 직·간접 배출, 도로수송, 건물 및 시설의 간접배출 등 8~9개 배출원
- 울주군: 석유화학 및 비철금속 산업 직접배출, 철강 산업 간접배출 등 16개 배출원
<시사점 및 제언>
◯ 남구와 울주군의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장기 대책 필요
- 석유정제 및 화학, 비철산업의 연료 및 원료전환(전기가열로, 바이오납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등)과 같은 대체공정 개발 및 적용,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 기술 실증화 및 적용 확대
-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은 냉매의 재활용 및 대체물질 적용을 비롯한 냉장·냉방의 직접배출 감축 등
◯ 동구와 북구는 ‘산업부문 에너지 전환,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
- 기계 제조업 시설의 화석연료 사용시설들을 전기 사용시설로 전환해 직접배출 활동 제거
- 공장 및 건물의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적용한 에너지 효율 극대화, 시설부지 내 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한 간접배출 감축 등
◯ “비산업부문 전력화와 에너지 효율 증가, 재생에너지 확대 노력도”
- 건물의 취사, 난방, 급탕 장치를 전기 장치로 전환,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 효율 증대
- 지열 및 수열 활용 냉·난방 확대, 옥상 및 벽면 태양광 확대를 통한 재생에너지 확대
- 건물 및 시설 온실가스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고해상도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