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미래유망산업 발굴 연구
연구부서 경제산업연구실 과제분류 기획과제
연구진 황진호,강영훈,변일용,이은규,김상우,이경우,김희종,유영준,김승길 발행연도 2014
첨부파일 분량/크기 11.5M

인구 고령화, 기후변화, 시장경쟁의 심화 등 대내외적 환경변화가 다양한 신기술의 융복합화를 촉진하면서 제조업 역시 새로운 진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도시 울산은 주력산업의 성장 둔화와 고용창출력 저하라는 어려움에 처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라는 당면과제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울산은 이에 대한 위기 극복 방안으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통해 기존 주력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신산업을  발굴·육성하여  일자리  창출과  지역성장을  견인하는  전략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본 보고서는 지역산업의 성장잠재력을 재조명하고 산업입지성, 성장성, 고용창출력, 정책부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미래 지역산업경제를 이끌어갈 유망산업을 선정·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부품, 조선해양, 정밀화학, 신소재, 환경, 에너지 등의 제조업과 생산자서비스를 비롯한 물류, 관광, 문화산업을 울산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선정하여 각 산업별 성장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의 핵심은 산업기술 및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새로운 기술들을 집적하고 융·복합함으로써 산업경쟁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신기술과 신산업이 요구하는 자질과 역량을 갖춘 인력양성과 지역산업정책 차원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강구하였습니다. 지역산업정책과 고용정책의 연계 강화 및 산·학·관 파트너십에 근거한 지역 거버넌스와 통합고용서비스의 활성화 등은 고급인적자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용창출력도 강화시킬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 제안하는 정책제언들이 울산의 미래성장동력 확보에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이 정책방안들을 바탕으로 지역 혁신주체들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보다 구체적인 미래 전략구상에 힘을 모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황진호,강영훈,변일용,이은규,김상우,이경우,김희종,유영준,김승길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