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출산장려정책을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중반으로 그동안 갖은 출산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구는 줄어들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인구 대부분이 수도권 및 도시권으로 몰리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인구감소 또는 인구절벽 문제는 현재 모든 정책에서 주요한 이슈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이슈와도 연동되어 있습니다. 더구나 주요 원인을 특정하기에도 어려울 정도로 가치관, 주택, 양육, 교육 등 그 원인도 다양하고 종합적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경기침체와 조선업 위기 등으로 2019년 기준, 울산의 합계출산율은 1.08명으로 인구 대체 수준인 2.1명의 절반으로 떨어졌고 이는 곧 저출산을 넘어 초저출산 수준으로 전체 주민등록인구도 2015년 117만여 명에서 2020년 113만여 명으로 5년 연속 내림세에 있습니다.
이에 울산광역시는 지난 2020년 인구정책기본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5년마다 인구정책종합계획을 수립토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 울산광역시의 인구와 관련한 다양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울산에 맞는 인구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국내 여러 지자체의 다양한 인구정책 사례를 제시하고 인구와 관련한 시민의 인식을 분석, 시사점을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인구 유입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자리, 주거, 복지를 중심으로 인구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략과 현실적으로 가능한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