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힘든 사각지대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있는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인 수요응답형 모빌리티(MoD, Mobility on Demand)가등장해 국내외 많은 도시에서 도입·운영 중에 있습니다.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는 그간 교통복지 차원에서 교통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운행된DRT(Demand Responsive Transit) 서비스보다 진화된 형태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한 대중교통수단입니다.
울산광역시는 도농통합도시로 행정구역 면적이 서울의 약 1.8배에 달해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이 운행하는 면적이 넓어 기존 시가지인 도심은 대중교통서비스가 비교적 양호하지만, 도심 외곽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에 대한 개념 및 관련 법·제도와 국내외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도입 및 운영 사례를 검토한 후, 지역 내 대중교통 취약지역 분석과 일반시민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도입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울산광역시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관련 계획·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