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업성장기에 도시가 발전한 울산은 1980년대 이후 택지개발과 공동주택 공급이 활발했습니다. 당시 건설된 공동주택이 2~30년 경과함에 따라 주택이 노후화되고 마을 전체가 함께 쇠퇴하여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재건축·재개발사업과 도시재생사업 등 기존 주택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중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의 유형이 주거
정비방안의 하나로 등장하여 타 지역에서는 추진하고 있습니다.
울산에서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을 검토하고 관련 기본계획 수립을 예정하고 있으나, 도시 개발단계, 공동주택 개발밀도, 주택가격, 기반시설, 주택건설경기, 주민 선호방식 등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도시여건이 타지역과 달라 울산지역 특성을 반영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합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의 수립에 앞서 우리지역에서의 기본계획 수립 필요성과 세대수 증가형 공동주택 리모델링 수요, 다양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유형, 주거환경 정비사업 추진의 주민참여 방안, 원활한 리모델링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 등 기본계획 수립방향에 대해 검토하였습니다.
연구의 결과가 울산지역의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의 관리와 안정된 주거환경을 확보하는 방향 설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