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 관리는 건강 위해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기환경 관리 정책은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낮추는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대기오염에 대한 건강위해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최근 수립된 대기환경 관리 계획과 법령에서는 이를 고려해 대기환경 관리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동안 대기오염의 건강위해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기 때문에 관련 기초자료의 부족 등으로 효과적인 정책 발굴과 이행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울산광역시 관내 대기환경과 노출 인구 등을 종합 분석·평가하여 건강위해성 기반 대기오염 취약지역을 제시한 보고서이다.
본 보고서에서 제시된 결과들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명시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과 앞으로 수립·추진될 위해성 기반 대기환경관리 정책의 기초 및 근거자료로 활용되어 대기환경 관리의 진일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