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실행 주체 간 연계 협력으로 해결책을 찾아가는 일련의 활동을 리빙랩이라고 합니다. 환경오염, 기후위기 등 국가와 시장의 힘으로 해결되지 않는 사회적 난제가 늘어날수록 참여주체들의 혁신적 발상과 협력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시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시민들의 혁신역량이 높아져 실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도 합니다. 리빙랩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론이기에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며, 결과가 실패일지라도 과정 중에 얻은 참여주체들의 인식 변화 및 역량 강화적인 부분에서 성공이라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울산은 그동안 시민 주도형, 지자체 주도형, 연구기관 주도형으로 리빙랩 사업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자료 공유와 진단이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울산 리빙랩사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지속 가능한 리빙랩 생태계를 구축을 도모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