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발과 장기화는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몰락, 골목상권의 해체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다행히 우리 사회는 코로나19 전염성 약화와 생활방역의 실천으로 일상 회복의 길목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우리 이웃인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 다시 일어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것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합니다.
울산은 도시 기반 특성상 소수의 발달상권 중심으로 상권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가까이 있고 정서적으로 친밀한 골목길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기에는 큰 부침이 있어 보입니다. 골목길을 따라 개별 점포로 영업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이 스스로 결속하고 상생할 수 있도록 조직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형성된 상인 공동체는 상권을 조직화하고 활성화하는데 큰 동력이 될 것이며, 골목상권은 주민들도 편하게 찾을 수 있는 지역사회의 거점공간 기능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골목상권 공동체 활성화가 골목상권을 살리는데 충분하지는 않으나 필요한 조건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본 보고서에서 골목상권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체계의 구축과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등 두 가지의 전략을 제시합니다. 종합하자면, 골목상권 지정을 위한 선정, 등록, 평가, 사후관리까지 포괄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중간지원조직을 두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필요한 곳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을 반드시 순차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행정기관의 입장에서는 행정적 지원체계와 예산 확보가 무엇보다도 우선이겠으나, 우리 이웃 골목길 내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급하고 추진 가능한 것부터 시작하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