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광역시민들이 전체 행정에 대한 과거 3년의 전체적인 흐름에 대한 평가와 도시기반, 환경, 경제·산업, 사회복지·교육·문화 및 여가와 관련한 생활행정 등 「울산광역시민의 행정수요 측정」을 실시하였음
● 울산의 행정수요 항목 가운데 성과 및 달성에 대한 만족도를 기준으로 향후 비중을 두어야 할 항목은 ① 교통, 휴양·관광, 공항·철도·항만, 도시경관 등의 도시기반 부문, ② 자연, 대기환경, 수질, 먹는 물, 폐기물 등의 환경 부문, ③ 지역경제의 활성화, 산업·유통, 노사관계 등 경제·산업 부문, ④ 사회복지·교육 여건, 문화·여가 등 생활관련 부문, ⑤재해·범죄예방·질서 등 공공안전 부문, ⑥ 민원처리, 정보화, 시민생활과 관련된 행정서비스 부문이었고, 이 중 ④, ⑤, ⑥ 항목을 묶어 시민생활과 직접 관련한 부문으로 통합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하였음
● 도시기반 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3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주차시설 및 이용(상대적 가중치=1.00), 교통소통(상대적 가중치=0.84),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상대적 가중치=0.81), 보행 시설(상대적 가중치=0.76), 거주지 주변교통 접근성(상대적 가중치=0.68) 등으로 예상되며 이 5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환경 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1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대기 환경 질(상대적 가중치=1.00), 수질 개선 또는 유지(상대적 가중치=0.85), 먹는 물 관리(상대적 가중치=0.78), 생활악취 개선(상대적 가중치=0.71), 자연생태계 보전(상대적 가중치=0.70), 산업공단 환경개선(상대적 가중치=0.51) 등으로 예상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이 6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경제·산업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0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물가 안정(상대적 가중치=1.00), 지역경제 활성화(상대적 가중치=0.86), 일자리 창출(상대적 가중치=0.62), 지역주민 소득 증대(상대적 가중치=0.57) 등으로 예상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이 4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사회복지·교육·문화 및 여가 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4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복지시설(상대적 가중치=1.00), 치안·범죄예방·질서유지 등 안전서비스(상대적 가중치=0.72), 취약계층 지원 및 서비스(상대적 가중치=0.70), 자녀 교육 환경 여건 개선(상대적 가중치=0.70), 영·유아 보육 및 양육 시설 및 서비스(상대적 가중치=0.62), 문화예술 행사 프로그램 제공(상대적 가중치=0.53) 등으로 예상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이 6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른 행정수요 돌출이 지니는 의미는 향후 주어진 예산이나 인력 운영에 있어 시민이 가장 원하는 부문에 대해 주어진 행정의 재원들이 어디에 우선적으로 투입돼 시민을 위한 행정을 펼치는 가를 나타내는데 있으며, 상대적인 인력 및 예산 투입 결정에 기준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울산의 행정수요 항목 가운데 성과 및 달성에 대한 만족도를 기준으로 향후 비중을 두어야 할 항목은 ① 교통, 휴양·관광, 공항·철도·항만, 도시경관 등의 도시기반 부문, ② 자연, 대기환경, 수질, 먹는 물, 폐기물 등의 환경 부문, ③ 지역경제의 활성화, 산업·유통, 노사관계 등 경제·산업 부문, ④ 사회복지·교육 여건, 문화·여가 등 생활관련 부문, ⑤재해·범죄예방·질서 등 공공안전 부문, ⑥ 민원처리, 정보화, 시민생활과 관련된 행정서비스 부문이었고, 이 중 ④, ⑤, ⑥ 항목을 묶어 시민생활과 직접 관련한 부문으로 통합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하였음
● 도시기반 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3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주차시설 및 이용(상대적 가중치=1.00), 교통소통(상대적 가중치=0.84),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상대적 가중치=0.81), 보행 시설(상대적 가중치=0.76), 거주지 주변교통 접근성(상대적 가중치=0.68) 등으로 예상되며 이 5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환경 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1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대기 환경 질(상대적 가중치=1.00), 수질 개선 또는 유지(상대적 가중치=0.85), 먹는 물 관리(상대적 가중치=0.78), 생활악취 개선(상대적 가중치=0.71), 자연생태계 보전(상대적 가중치=0.70), 산업공단 환경개선(상대적 가중치=0.51) 등으로 예상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이 6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경제·산업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0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물가 안정(상대적 가중치=1.00), 지역경제 활성화(상대적 가중치=0.86), 일자리 창출(상대적 가중치=0.62), 지역주민 소득 증대(상대적 가중치=0.57) 등으로 예상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이 4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사회복지·교육·문화 및 여가 부문에서 지표로 측정된 14항목 가운데 향후 행정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복지시설(상대적 가중치=1.00), 치안·범죄예방·질서유지 등 안전서비스(상대적 가중치=0.72), 취약계층 지원 및 서비스(상대적 가중치=0.70), 자녀 교육 환경 여건 개선(상대적 가중치=0.70), 영·유아 보육 및 양육 시설 및 서비스(상대적 가중치=0.62), 문화예술 행사 프로그램 제공(상대적 가중치=0.53) 등으로 예상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이 6가지가 상대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
●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른 행정수요 돌출이 지니는 의미는 향후 주어진 예산이나 인력 운영에 있어 시민이 가장 원하는 부문에 대해 주어진 행정의 재원들이 어디에 우선적으로 투입돼 시민을 위한 행정을 펼치는 가를 나타내는데 있으며, 상대적인 인력 및 예산 투입 결정에 기준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