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배경
□ 세계적으로 광역규모의 지역경제권이 부상
ㅇ WOT 체제이후 세계경제는 거대한 단일시장으로 확대되고 있고 경쟁의 주체가 국가단위에서 지역으로 변화되었음
ㅇ 세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지역들의 노력이 가중되는 가운데 동북아 지역에서는 6대 광역경제권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대해 가고 있음
- 중국의 주강경제권(홍콩 등), 장강경제권(상해․소주 등), 발해만경제권(북경․천진 등)의 3곳
- 일본의 관동경제권(동경 등), 관서경제권(오사카 등)의 2곳
- 한국의 수도권경제권(서울 등)의 1곳
□ 동남권의 동북아 7대 경제권 진입 필요성 대두
ㅇ 동남권(부산․울산․경남)은세계적으로전개되는지역간경쟁에서살아남고기존의경쟁력을 더욱 강화함으로써수도권에 버금가는 글로벌 광역경제권으로 거듭날 수있는 잠재력을 갖춘 국내 유일의 광역권으로 평가되고 있음
ㅇ 특히 최근 ‘동서남해안특별법’의 제정과 함께 남해안을 중심으로 한 해안경제권의 개발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ㅇ 따라서 동남권이 주력산업의 구조를 업그레이드하고 보유한 자원의 잠재력을 최고로 발휘하
여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경제․산업의 중심지역으로 도약함으로써 수도권에 버금가는 동북아의 7대 광역 경제권으로 진입할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임
2. 연구의 목적
□ 동남권 산업의 연계 실태에 대한 실증적 확인
ㅇ 광역경제권 형성 논의의 기초가 되는 산업연계(industrial linkage) 실태를 동남권지역사업체를 대상으로 파악함으로써 실제적인 동남경제권 구축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함
ㅇ 동남권의 경제․산업적 현황과 잠재력을 파악하고 국내․외의 광역경제권 형성사례와 연구결과를 참조한 후, 기존의 광역경제권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산업클러스터적 접근을 통해 분석한 동남경제권역을 제시함
□ 동남경제권의 형성을 위한 정책과제의 제안
ㅇ 동남권에서 성공적인 광역경제권을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동남권 지
자체들의 공통 정책과제를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