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동남권 공간구조변화와 지역발전방안
연구부서 도시환경연구실 과제분류 기타과제
연구진 이주영,정현욱 발행연도 2007
첨부파일 분량/크기 34.9M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서울, 부산, 대구등우리나라대도시들의교외화, 주변지역과의 연담화에 따라 도시 간의 구분이 분명치 않은 대도시권화 추세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공간계획 및 정책의 초점은 이러한 광역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여전히 해당 지자체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공공재원의 중복투자 및 자원의 비효율성 야기 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예를 들어 통근통행량의 증가 및 장거리화는 광역교통시설에 대한 획기적인 투자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점차 악화되는 도시의 대기 질에대해 광역적인 차원에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 도시기반시설의 포화에 따른 추가 시설의 입지를 둘러싼 광역권내 지역 간 갈등은 심각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지불을 요구하는 등 해당도시를 뛰어넘는 광역적 연계 및 통합적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이러한 도시 광역화 현상은 부산․울산․경남을 포함한 동남권 역시 예외가 아니다. 동남권 중심도시인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웃한 울산광역시, 경남, 김해, 양산 그리고 진해 일부를 포함한 대도시 광역권의 형성이 최근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 한편, 도시의 광역화, 대도시권화가 진행됨에 따라 광역권 혹은 대도시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에대한 구체적인 개념정립, 광역권의 공간범위에 대한 뚜렷한 원칙과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예를들어, 부산, 울산, 경남을 포함하여 일컫는 동남권 혹은 부산광역경제권(부산경남권)은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단순히 부산을 중심으로 하여 인접하는 주요 도시를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묶은 것으로 중심도시와 주변도시간 기능적 연계성을 고려한 설정이라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광역권에 대해 명확한 개념 정립도 요구되며, 이에 따른 연구대상지역의 광역권 설정도 요구된다. 그러나 광역권 설정을 어떤 기준으로 설정할 것인가가 따라 권역설정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준(통근통행, 인구이동, 산업연계, 관광등)을 이용하여 권역을 설정하되, 특히대도시 광역권설정의 가장 기초가 되는통근통행을 통해 광역권을 설정해 보도록 한다.

 

• 이처럼 광역도시화, 이에 따른 여러 분야에 대한 광역적 연계 및 검토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도시의 광역화에 대한연구가 우선 연구대상 영역이 매우 넓다는 점과 단순히 몇몇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내용이아니라 물리적 공간분석, 공간적 기능적 연계분석을 통합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동안 연구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대한 접근은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다.

 

2.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동남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인구, 토지이용(시가화)변화 분석을 통한 광역도시공간구조변화 파악하는 한편, 통근통행, 인구이동, 산업연계 등의 지역간 기능적 연계분석을 통해 다양한 기능적 연계권역 설정및 동남권의 상생적 발전방향을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토지이용변화(시가화지역변화), 인구(가구)변화, 산업(고용)변화를 통한 광역도시 공간구조변화 파악
  - 인구이동, 통근통행, 산업연계, 관광연계 등을 통한 지역간 기능적 연계 파악
  - 다양한 기능적 권역권 설정 및 동남권 상생적 발전을 위한 지역발전 과제를 제시

이주영,정현욱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