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배경 및 목적
○ 우리나라 하천의 중․하류에는 인구 및 산업시설이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어 현행 농도규제방식으로는 환경기준을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계를 단위유역으로 나누고, 유역별로 목표수질을 설정한 후,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배출총량을 설정․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되어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등 4대강을 중심
으로 추진되고 있음.
○ 울산광역시도 환경부의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2006-2015)에 근거하여 2010년 태화강 오염총량제의 사전 기초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함.
○ 또한 향후 태화강의 대표적인 점오염원인 언양, 굴화하수처리장의 방류량 증가와 잠재적 오염도가 큰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하천 오염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단계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들에게 보다 양질의 수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수환경정책을 개발하고 태화강의 오염 총량관리제의 도입에 따른 사전연구를 통해 기초자료 제공과 정책수립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또한 태화강 주요 유입오염원의 오염제어 할당량 제시를 통한 합리적인 수질개선 사업 추진하고 태화강의 수질관리를 위하여 설정한 규제기준물질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시나리오 설정 및 분석 과정을 통하여 향후 수질오염도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