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18년 9월 자원순환형 사회 실현을 위해 향후 10년 목표의 자원순환기본계획을 수립했습니다. 환경부는 본 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1인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2018년 1.01kg에서 2027년 0.86kg까지 줄이겠다는 자원순환 국가목표를 공표했습니다. 이에 자원순환 국가목표 달성을 위한 지자체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2018년 기준 울산시의 1인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1.27kg으로 전국 평균보다 0.26kg 많으며, 7대 광역시 중에서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이 시대에 자원순환형 사회를 실현하고, 국가 자원순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시 생활폐기물 감량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본 연구는 울산지역 생활폐기물 발생 특성 및 배출실태 조사를 통해 생활폐기물 배출량 저감 및 재활용률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또 국내 생활폐기물 감량 선진사례 조사를 통해 실효성 높은 우수사례를 울산에 적용하고자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