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유행으로 경제와 사회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재택근무, 온라인 교육 등 비대면 서비스가 보편화되는 뉴노멀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러한 사회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메타버스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1992년 공상과학소설 ‘스노우 크래시(Snow Crash)’에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메타버스는 간단히 말해서 현실과 같은 방식으로 사회화 할 수 있는 3D 가상 세계입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기술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로 우리 곁에 다가왔습니다. 주로 디지털 네이티브인 90년대 중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출생한 제트세대와 2011년 이후 출생한 알파세대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활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메타버스 TF를 구성해 ‘메타버스 정부’ 추진 논의에 나섰고, 서울시는 ‘메타버스 서울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행정 분야에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는 우리나라가 가장 앞섰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기술 적용이 가능한 행정서비스를 발굴했으며, ‘메타시티 울산’ 구현을 목표로 행정서비스 6대 분야 15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