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미시적으로 울산국립대가 입지하는 언양 반연지구 인근에 산학협력을 위한 연구․개발기능 및 주거기능 등의 국립대 배후 기능의 개발과 더불어 거시적으로 울산국립대와 주변지역과의 연계 발전(안)을 제시하는 아카데미폴리스 개발 기본구상(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음.
2. 해외 성공사례 및 울산국립대의 입지적 특성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이 주도적으로 산학협력 및 지역발전을 선도한 해외 성공사례를 검토 및 울산 도시공간구조에서 울산국립대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였음.
- 해외 성공사례는 미국의 실리콘 밸리, 미국 샌디에고 바이오 클러스터, 영국 캠브리지 사이언스 파크, 핀란드 오울루 테크노폴리스, 일본의 쯔꾸바 연구학원도시 등의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이들 사례를 통해 울산 국립대의 산학연 협력 및 지역발전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음.
- 한편, 울산광역시 도시공간구조에서 울산국립대의 입지적 특성으로 첫째, 서부권 자족 부도심 육성 강화 둘째, 기존 울산도심과 서부권을 연결하는 공간구조의 형성 셋째,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도시개발축 형성 등을 제시할 수 있음.
3. 아카데미폴리스 개발 구상(안)
○ 해외 성공사례 검토 및 울산 도시공간구조상에서 울산국립대의 입지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아카데미 폴리스 개발 구상(안)으로 R&D 거점형(Science Park형), Sub-urban center형(지역 부도심형), 테크노폴리스(Technopolis)형 등의 3가지 안을 제시하였음. - R&D 거점형 (Science Park 형)은 울산국립대와 그 인접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국립대 인접지역에 산학연 협력을 위한 과학기술단지(Science Park)를 조성하고, 울산국립대를 기존 울산대학교, 테크노파크, 혁신도시와 연계한 에너지, 환경 중심의 연구개발 클러스터의 거점지역으로 형성함을 의미함.
- Sub-urban center형 (지역 부도심형)은 울산국립대, 고속철도 역세권, 언양 시가지를 공간적 범위로 하며, 이들 주요 개발 사업을 연계하여 서부권의 지역부도심 육성을 의미함. 이를 위해 울산국립대 주변(배후)지역에 대학과 연계가 가능한 주거, 산업, 상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집적 시켜 공간적 전문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
- 테크노폴리스 (Technopolis)형은 울산국립대, 고속철도 역세권(언양시가지) 그리고 서부권의 길천 및 가천 지방산업단지를 포함한 광역(넓은) 지역을 첨단지식산업 기반의 산학연 교류지역으로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 울산국립대의 주도적인 역할이 기대됨.
- 그리고 제안한 3가지 안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각 안들이 서로 공간적으로 연계 및 확장되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 과학단지형
-지역부도심형-테크노폴리스형의 단계로 단계별 확장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4.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울산국립대가 산학연 협력 및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배후지 개발이 필요하며, 앞서 제시된 기능 및 개발방향에 부응하는 울산국립대학 배후지 개발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연구, 교육, 산업, 문화, 주거 등 복합 기능 입지가 가능한 개발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며, 교육·연구환경과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 복합기능도입이 가능한 사업추진방식으로는 도시개발사업, 산업단지개발사업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업주체는 공공 및 민간이 모두 가능한 사업방식이나 대학배후지 및 학연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공공의 역할이 큰 것으로 사료됨.
○ 한편, 대학과 같은 거점시설이 입지함에 따라 상업시설 등 무계획적인 개별시설의 입지로 난개발 가능성이 우려된다. 울산국립대학 입지 지역 주변은 개발제한구역, 농림지역, 관리지역, 녹지지역으로 대규모 건축물이 입지하기 어려운 지역이나 소규모 개별 건축물이 난립할 경우 앞서 제시된 학연도시의 기능배치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대학 배후도시의 기능입지를 위하여 국립대학교 개교 시기에 맞추어 대학배후지 사업계획 수립, 개발주체 선정과 그에 따른 사업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이와 함께 주변지역의 자연환경과 경관, 도입기능 등을 고려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수립을 통하여 학연도시의 특징을 반영하고 기능적으로 연계되며 주변 환경과도 조화로운 아카데미폴리스 개발지침이 제시되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