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울산여성 통계지표 개발
연구부서 기획경영실 과제분류 기본과제
연구진 김혜림 발행연도 2005
첨부파일 분량/크기 52.1M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본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은 지역에 맞는 여성지표개발을 통하여 지역특성과 내부 역량을 반영한 여성발전 전략을 유도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관련 지표 작성의 목적은 첫째 기존의 사회통계 및 지표를 검토, 분석하여 여성 상태를 전반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둘째 기존 통계 및 지표의 문제점과 한계점의 개선에 기여하고, 셋째 여성의 상태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로 여성관련 정책 및 발전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여성인력은 국가경쟁력 강화의 동력으로 개발․육성되고 있으며, 양성평등 사회의 구현은 전 세계적인 추세로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생산되는 통계자료나 지표개발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 지역의 여성은 지역과 여성이라는 이중적 특수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문제는 훨씬 복합적인 형태로 발현한다. 게다가 여성은 지금까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가정과 사회 전반에 팽배해 있는 가부장적 가치는 여전히 여성발전과 평등사회 실현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으로 이러한 차별적 사회문화가 곳곳에서 재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초보적인 양성평등 의식조차도 확립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이러한 성차별의 수준과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은 더 절실한 실정이다.

 

  ○ 남성 중심적인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는 울산지역의 여성의 현실은 그 어느 지역보다 훨씬 복합적이고 특수한 양상을 보인다. 지역특성을 반영한 종합적인 통계자료를 생산은 지역여성의 삶과 지위에 대한 총체적 파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차별적 사회문화와 지역고유의 특수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초통계자료의 확보는, 지역내부의 역량강화를 위한 필수요건이며 효과적인 정책수립과 실천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전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존의 지표나 통계들은 남성위주의 사회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여성 집단의 삶의 질과 관련된 지표들을 독립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각 영역에 분리되어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 삶의 고유한 특성이나 변화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김양희 외;1996).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남성위주로 작성된 지역통계를 재구성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통계자료 생산에 필요한 지표들을 체계화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향후에 이 지표들과 실제 조사에서 나타나는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합성 지표나 부분적인 평등지표 개발을 위한 조사와 합의는 지속되어야 하며, 사회변화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세부적인 지표개발 작업을 통해 보완해 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김혜림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