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태화강변 경관관리 실행방안 연구
연구부서 도시환경연구실 과제분류 기본과제
연구진 변일용 발행연도 2012
첨부파일 분량/크기 19.7M
● 본 연구는 태화강변으로 형성되는 건축물과 도시기반 시설물의 경관관리를 체계화하고 경관사업 발굴을 통해 시민들이 보다 더 친숙한 태화강으로 재생되기 위해 태화강변에서 조망되는 다양한 시설물의 조화로운 스카이라인, 색채, 디자인, 야간경관 등을 위해 필요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2010년에 수립한 “울산광역시 경관계획”을 보완하고 구체화하는 계획으로써 실현가능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 연구는 주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태화강변의 경관관리를 위한 방안과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경관사업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음

● 태화강의 수질 및 환경개선으로 이용시민이 증가함에 따라 수변경관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고 국내외 건설경기 등의 변화로 태화강변에 무분별하게 입지하던 주상복합건물이나 대규모 공동주택, 산업단지 등에 대해서는 보다 개선된 관리가 필요하며, 태화루나 태화강 전망대 등 주요 조망점에서 조망되는 도시상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도 요구되고 있음

● 태화루 건립은 역사적 의미를 현대 도시에 재조명하는 점에서 중요한 사업이고, 역사성 회복의 노력은 태화강을 시민들에게 좀 더 친숙하게 하고 긍지를 갖게 하는 의미가 있음. 이런 의미에서 태화강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료나 흔적을 찾아 복원 등을 통해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또한 경관관리 방안으로 시가지 경관은 양호한 조망대상의 경관 보전, 주요 조망점에서의 조망대상 보전, 산악경관의 경우 파노라마 경관을 보호하고 능선의 연속성 유지, 태화강 및 지천 등의 강안지역 수면경관과 자연과의 조화 유지, 태화강 주변지역의 건축물에 대한 색채 및 야간 경관관리를 통한 조화 등으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그 실행 방안으로 조망대상이 되는 주요 경관거점을 재확인, 현실에 부응하는 조망점 설정 및 경관관리를 하되 태화강 수변축의 경관중점관리구역 내 건축물, 구조물, 광고물 등이 입지 시 사업부지 인근 조망점에서 사업부지를 조망하는 시뮬레이션을 작성하여 주요 조망대상이 차폐될 경우 경관위원회에 의견을 묻거나 심의로 판단하도록 제시하였음

● 농산어촌경관으로는 자연경관과 어우러진 농어촌 경관 보전, 농촌의 취락지 경관은 주변경관과의 조화 유지, 산지 전원주택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경관관리 등으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고, 경관관리 실행 방안으로는 경관관리지침에 의한 취락지역의 경관관리, 건축물의 용도, 규모 등에 따라 적절한 경관관리 유도 또는 사업 추진 및 산지전용을 통한 전원주택지 개발 추진시 경관위원회 심의를 받도록 제시하였음

● 가로경관에서는 주요 가로, 교통광장, 교량의 특성 부여 및 관리하되, 경관관리가 요구되는 가로에 대해 Identity 부여, 교통광장 등 주요 결절지점에 대한 색채, 외장재, 야간경관 등 경관관리 유도 등으로 설명할 수 있음. 경관관리 실행방안으로 특화가로에 대한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시(태화강대공원 앞 가로, 언양읍성 가로), 태화로터리, 신복로터리 등 주요 교통광장 주변 건축물에 대한 경관관리, 주요 교량의 디자인화를 통한 도시의
심미성 확대, 경관사업화 등을 제시하였음

● 역사문화경관관리로는 역사문화 경관자원 발굴 및 복원, 기존 역사문화자원의 재조명을 통한 경관자원화, 복원된 역사자원의 스토리텔링 및 주변 경관자원과의 연계 등을 기본방향으로 제시하였고, 경관관리 실행 방안으로는 역사문화자원의 발굴과 경관자원 및 문화관광자원화, 문헌, 사료 등에 언급된 문화자원 중 태화강과 연계된 자원을 발굴, 복원을 통한 역사성 제고, 현존하지만 의미가 낮은 역사물에 대한 가치부여 및 경관자원화 등을 제시하였음

● 산업경관의 기본 관리 방향으로는 공단지역의 경관관리 강화, 국도24호선 주변지역에 입지한 공업단지와 개별 공장을 포함, 주변경관과 조화되도록 색채, 마감재 등을 고려하여 관리할 것을 제시하였고, 경관관리 실행방안으로는 국도변에서 조망되는 공단지역 경관사업화를 통한 관리, 이질적인 경관을 자연과 순응하도록 색채, 마감재 등 경관관리 유도, 국도24호선상에서 조망되지 않도록 조경 식재 등 경관사업화 등을 제시하였음

● 본 연구의 결과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총 5가지로 요약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음

● 첫째, 태화강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위원회 심의기능을 강화하도록 함. 태화강은 울산의 젖줄이자 생태환경의 상징과 울산의 랜드마크로서 시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자원임. 이러한 자원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은 후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임을 인식할 때 태화강변의 경관관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임. 특히 태화강변 경관관리구역 내에 건축물 설계시 주요 조망점에서 조망대상이 차폐되지 않도록 하고, 산지전용으로 전원주택단지 조성 시 반드시 경관위원회 심의를 득해야 함

● 둘째, 역사문화자원의 복원을 통한 태화강의 가치를 재조명함. 현재 시험 운행한 뗏목 체험을 상시로 전환하고 2개소의 나룻터를 복원, 운행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복원은 시민들에게 친숙하고 향수를 찾을 수 있어 태화강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을 것이며, 태화루 주변지역에 대한 경관관리가 요구됨

● 셋째, 태화로터리, 신복로터리 등 주요 교통광장 주변건축물에 대한 경관관리를 통해 쾌적한 도시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함. 태화로터리와 신복로터리 교통량은 전국적으로 수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통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어서 많은 시민들이 주변 경관에 대해 관심이 높은 실정임. 그러므로 로터리의 쾌적성 제고를 위해 주변 경관관리가 필요함

● 넷째, 교량 리모델링 사업으로 태화강의 이미지를 제고해야 함. 태화교 경관개선사업으로 보행 편의 증진과 이미지가 개선됨에 따라 태화강의 주요 교량에 대한 노후화 방지 및 디자인 개선으로 태화강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다섯째, 농촌 산업단지의 경관관리로 생태도시 울산의 이미지를 개선하도록 해야 함. 태화강 상류지역에 조성되었거나 조성되고 있는 산업단지의 경관개선을 위해 생육이 빠른 교목 등을 조성하고 지붕 등에 색채관리를 통해 생태도시로서의 울산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변일용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