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Ecopolis 울산계획
연구부서 도시환경연구실 과제분류 기본과제
연구진 김석택,이상현,변일용,이수정,이상윤,김영혜,김부생 발행연도 2003
첨부파일 분량/크기 27.7M

계획의 수립배경 울산은 지난 40여년간 우리나라가 고도경제성장을 이루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경제성장의 기여도만큼이나 상대적으로 울산은 환경오염 도시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97년 울산은 광역시 출범이후 지속적인 환경시책을 추진하였다. 울산시의 환경정책은 초기 제1차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99~'03년)에서 제시되었듯이 대기관리중심의 정책을 추진하였지만 현재, 제2차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04~'08년)에서는 수질개선과 자연생태계 복원 및 보존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한편 2002년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되었던 WSSD(The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의 "Eco-efficient Cities: Towards Sustainable Communities and Cities" 세션에서 도시의 생태적 효율성(Eco-efficiency)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또한, 도시의 생태적 효율성 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약속을 정부간 회의인 WSSD에 전달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거주성의 창출과 자연자원의 보호를 허용하는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환경친화적 도시로의 발전이 주요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국제적 차원의 흐름 속에서 산업도시로 발전해온 울산의 이미지 제고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로의 발전방안을 모색이 시대적 요구로 제시되었다.

계획의 목적 생태도시 울산계획을 통해 울산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환경과 경제가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과 아울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도시 조성의 기본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04년 생태도시 울산을 선언하기 위한 기본연구이자, 울산을 환경선진도시로 변화시켜 국내/외 선진생태도시로의 이미지 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생태도시 울산계획은 기존의 산업도시 울산의 개발중심 도시정책에서 환경친화적인 도시개발의 전환을 의미하고 장기적인 환경친화적 토지이용 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김석택,이상현,변일용,이수정,이상윤,김영혜,김부생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