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토양오염은 각종 산업 활동으로 인한 물질의 개발, 사용 및 폐기를 통한 순환과정에서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오염물질이 토양으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형태로 유기성 폐기물의 매립장이나 가축축사의 분뇨, 중금속, 유기용매 등이 현재까지 심각한 오염부분으로 알려져 있음.
○ 토양환경보전을 위해 중앙정부는 1995년 토양환경보전법을 제정, 공포하고 지속적인 토양오염 관리 및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공업도시인 울산시의 현실에 적절한 정책수립 및 추진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음.
○ 현재 중앙정부의 토양정책은 토양측정망을 활용한 모니터링, 토양보전 대책지역 지정과 관리, 그리고 오염지역에 대책계획 수립 등으로 구성되는 토양오염 개선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토양정책은 지역에서 검토하고 도출해야할 사항임.
○ 따라서 산업도시인 울산시 지역적 특성과 오염특성에 관한 과학적인 분석자료와 정책자료 방안과 자료에 관한 체계적인 제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생태도시 울산조성에 필요한 쾌적한 토양환경보전에 관한 정책 발굴이 필요함.
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울산지역의 토양오염 기초조사와 중앙정부의 토양정책 등을 검토분석하여 울사지역 특성에 부합되는 합리적인 토양정책방향 제시와 원칙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음.
○ 또한 궁극적으로 공업도시인 울산의 토양오염 문제점을 파악하고, 토양오염으로 인한 시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함과 동시에 토양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오염된 토양을 정화 복원하는 기술 자료와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