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배경
○ 태화강은 울산시가지를 관류하는 도심하천이자 공업도시 울산의 상징으로 울산의 도시화·산업화과정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음
○ 2000년대에 들어 태화강 하수관거 정비 및 정화사업이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수질개선에 큰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2005년 태화강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한 사업 추진은 수질개선 및 수량확보, 수생태 건강성 회복, 친수 수변공간 조성 그리고 역사성 회복 및 복원에 큰 역할을 함
○ 또한 2009년에는 저탄소 녹색성장시대에 부합되고 태화강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태화강 마스터플랜 2단계 추진방안 연구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품격높은 태화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이외 태화강 중류(선바위~굴화)생태하천 조성, 선바위 공원 조성, 태화강 대공원 조성 사업 등이 추진·완료되고 있어 시민들이 태화강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지속적으로 마련되고 있음
○ 하지만 태화강은 매스컴 방영, 각종 수상경력, 모범 사례 추천 등을 통해 대내외적으로 공인받은 하천으로서 울산의 대표 브랜드로 높은 가치가 있으나 이러한 내용이 ‘복원’부분에 치우쳐 있는 점이 한계라고 볼 수 있으며, 울산시민들에게 태화강은 ‘생태하천’ 태화강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혀 있어 하천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즐길 수 있는 가치를 찾는 데 제한이 생길 수 있음
○ 이에 21세기 하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이고, 하천의 기능이 변화되고 있는 점을 인지할 계기마련이 필요하며, 태화강의 가치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음
나. 목적
○ 태화강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 태화강의 다양한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과 방안을 제기함으로서 하천에 대한 인식전환 마련을 함
○ 태화강의 자연·생태, 역사·문화 콘텐츠에 관광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보완하여 체계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유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