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개발사업, 도시개발사업 등을 통한 대규모 토지개발과 주택의 공급은 양적인 주거여건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 주택정책은 양적 주택확보뿐만 아니라 질적인 주거환경 확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주택 수요 계층에 따라 다양한 주택유형의 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공공주택정책 또한 저소득계층 뿐 아니라 주거여건이 취약해질 수 있는 사회초년생과 노인세대 등 다양한 수요계층에 맞추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행복주택 정책을 통해 젊은 세대를 위한 공공주택확보에 힘쓰고 있다.
울산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취약계층을 도출하여 수요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공공주택정책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울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주거취약계층을 사회초년생과 노인세대로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의견과 도출된 수요자의 의견을 조사하여 계층별 맞춤형 공공주택 공급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주택정책은 비단 저소득계층을 위한 정책이 아닌 다양화되고 있는 주거취약계층을 지원하고, 나아가 생산활동인구의 유입과 정착, 기존 인구의 유출을 막는 인구정책과 연계되며 주거안정화를 통한 삶의 질 확보 측면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수요자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방안을 마련, 향후 실천할 수 있는 과제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