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활동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울산의 산업은 고도화되는 반면 경제의 성장력이 저하되고 일자리 창출력이 떨어지고 있다. 우리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조업의 성장도 주춤하면서 일자리 유지·증가가 한계에 부딪친 것이다.
지역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해양, 석유화학 등은 서로 구별되고 특징적인 고용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고용구조가 지역산업의 경쟁력 유지는 물론 지역소득 측면에서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산업별 원·하청간의 고용구조에 따라 임금 및 근로여건의 차이가 있을 뿐더러 정규직, 비정규직 등의 고용형태에 따라서도 임금수준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는 고용의 안정성을 저해하면서 개별 기업 차원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의 생산 활동과 일자리 창출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 주력 제조업의 고용구조와 그 변화에 대한 기본 현황 파악이 지금껏 미진한 점이 있어 정책 개발에 노동시장의 실태를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본 보고서를 통해 지역 3대 제조업의 산업별 특성과 고용구조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넓히고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능동적이고 유연한 산업정책 수립 및 노동시장의 문제점 해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