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립배경
◇ 산업도시의 개발잠재력을 고려하면 울산시의 경제발전은 지속적인 반면 환경의 질은 상대적으로 열악해질 우려가 있음
ㅇ 산업단지조성, 대단위 택지개발, 관광단지 조성, 도로개설 등의 과정에서 산림과 녹지가 축소되고, 자연생태계의 훼손이 가속화됨 ◦울산의 환경용량을 고려한 개발과 오염총량관리의 체계 확립이 필요함
◇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과 시민의 "삶의 질"이 제고되는 맑고 깨끗한 울산건설
ㅇ 산업도시에서 친환경도시로의 전환에 부합되는 쾌적한 생활공간조성
ㅇ 개발과 보전의 조화, 인간과 자연의 공생이 함께 달성되는 생태도시건설
ㅇ 대기질의 획기적인 개선 (2차 계획기간 5년이내에 선진국 수준)
ㅇ 태화강 수질환경개선 (태화강 마스터플랜을 수립, 하천2등급 수질확보)
ㅇ 산업 1세대의 울산정주의식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주거환경 개선
◇ 환경과 경제가 상생하는 체계구축
ㅇ 기업자율 환경개선체계 구축
ㅇ 환경자원(시설, 기술)에 근거한 미래환경산업 선도
◇ 울산시의 새로운 이미지 창출
ㅇ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모범도시로 도약 ⇒1차 중기계획의 추진성과를 평가․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쾌적한 생활환경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는 세부실천계획의 수립․추진으로 환경선진도시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