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소득수준의 증대와 주5일 근무제도의 정착으로 삶의 질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계속적으로 증가
- 소득수준의 증가는 과거 의식주 해결차원에서 탈피하여 삶의 질에 대한 투자를 늘리게 되는 계기로 작용
- 주5일 근무제도의 정착은 이러한 삶의 질에 대한 투자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
- 먹고사는 문제가 크게 중요하였던 시기에는 중요하지 않았던 이슈가 현재에 와서는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
○ 이와 같은 삶의 질과 관련하여 일을 떠나 여가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짐
- 많은 사람들이 여가시간을 의미 있게 활용하기 위해서 상당한 비용을 치루고 있는 것도 이런 차원에서 당연한 결과
- 현대 사회에서 여가의 의미는 인간이 누려야할 하나의 권리로서, 우리 사회는 적절한 여가활동을 하도록 해줄 의무가 있음
- 물론 이러한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사회 전체적으로도 바람직한 측면이 있음
○ 한편, 산업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 증대와 이에 따른 지출의 증가는 관련된 산업의 성장과도 연계될 수 있음
- 이와 관련된 여러 분야의 산업 중에서도 특히 레저산업은 여가활동의 증가로 인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산업
- 여타의 다른 산업에 비해 레저산업은 여가활동을 위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적 특징으로 여가활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됨
- 여가활동에 대한 지출이 늘어날수록 레저산업의 수익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 국내 레저산업은 계속적인 성장을 이루어왔지만, 여전히 향후에도 성장을 지속하게 될 가능성이 높음
- 여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일을 많이 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하는 분위기는 존재
- 이러한 점에서 향후 여가에 대한 인식이 계속 바뀌어나간다면 계속적인 시장의 확대가 예상
- 뿐만 아니라 여가 소비자들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들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전망은 상당히 밝음
○ 이러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울산의 레저산업은 광역시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주장
- 이러한 표현이 다소 과장된 듯 보이지만, 전개되고 있는 여러 사업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역민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도 부족함이 있다는 인식에서 초래
- 지역내에는 지역 레저산업의 육성이 지역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나아가 지역 발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
-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기대감을 어떠한 측면에서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검토의 차원에서 시작
○ 본 연구는 울산지역 레저산업의 육성을 위한 차원에서 지역의 여건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
- 이러한 목적에서 레저산업에 대한 이해와 함께 지역 레저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
- 다음으로 지역 레저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는 것이 두 번째 과제
- 그리고 지역민들의 수요를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육성되어야 할 방향을 설정해 보는 것이 세 번째 과제
-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도출되는 아이디어와 시사점들을 통해서 정책적 측면에서의 제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본 연구는 지역의 관점에서 레저산업을 어떠한 방향으로 육성할 것인지가 주요 관심사이며, 따라서 다양한 레저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이론 보다는 지역의 여건과 향후 수요에 대해서 초점을 두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