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첨단 C-산업 육성 로드맵 수립
연구부서 창조경제연구실 과제분류 기본과제
연구진 강영훈 발행연도 2015
첨부파일 분량/크기 27.2M

요약문

 

  울산지역의 수송기기산업은 세계적인 경량화와 친환경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최근에는 자동차산업의 IT와 SW중심의 전환까지 가세하면서 지역 자동차산업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경량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이미 다른 지역에서 선점하고 있는 현실에서 추가적인 정부의 지원까지 받기에는 어려운 현실에 높여있다.


  C-산업으로 포괄되는 산업군에는 지역 내 대학이 큰 성과를 이루고 있고, 또 이러한 성과가 지역 내 기업에 기술이전되면서 새로운 활기도 돋아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패핀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이전은 해당 기업으로서도 새로운 사업을 위한 계기일 뿐아니라 지역대학의 설립목적과도 일치하면서 새로운 소재산업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C-산업군에 해당하는 탄소섬유와 그래핀을 통한 소재산업의 성장가능성을 인정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상용화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unist의 연구역량, 지역 내 최종수요처와 탄소섬유 생산 기업체 그리고 그래핀의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체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 노력 등을 통하여 부품소재산업의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C-산업과 연계된 추가적인 인프라로서 부품소재 경량화센터와 탄소소재복합 재료센터를 설립하며, 대학의 우수한 역량을 기반으로 그래핀과 탄소섬유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 및 지역 산업체를 중심으로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기술개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기반으로 향후 울산은 C-산업과 연계된 국제허브로 육성할 수 있는 C-산업관련 국제네트워크, 국제탄소(탄소섬유 및 그래핀)회의 등과 같은 추가적인 국제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제적인 C-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강영훈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