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연구의 목적
ㅇ 성격 : 기본과제
ㅇ 목적 : 울산 IT산업의 현황, 특징 및 구조를 분석하여 울산광역시가 IT산업 발전전략과 시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ㅁ 연구의 개요
ㅇ 범 위
- IT산업의 의의
- 국내 지역별 IT산업 현황
- 울산 IT산업의 현황, 특징 및 구조분석
- 정책 제안
ㅇ 연구분야 : 경제
ㅇ 연구방법 : 문헌연구, 데이터분석, 사례조사 및 전문가 면담
ㅁ 내용 요약
1. IT산업의 의의
ㅇ 한국 IT산업은 GDP보다 훨씬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수출의 주역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특히 휴대폰이 중심이 된 통신기기 분야는 신산업 육성이 경제에 얼마나 기여하는 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임.
ㅇ 자동차, 조선 및 석유화학산업의 전통산업을 기반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해온 울산 입장에서는 이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미래주력산업의 하나로 IT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함. 하지만 울산과 같이 전체적으로 IT산업의 기반이 약한 경우에는 특정 업종 혹은 품목을 선정하여 전략적으로 육성시키는 전략이 필요함.
2. 국내 지역별 IT산업 현황
ㅇ 서울, 인천 및 경기도로 구성된 수도권이 IT산업 사업체의 65.2%와 종사자의 67.0%를 차지하고 있어 이 지역 집중도가 매우 높은 실정임. IT산업의 성장률이 다른 산업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감안할 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제력 격차를 크게 벌일 가능성이 높음. 특히 소프트웨어와 도매 및 임대업의 수도권 집중경향은 더욱 뚜렷함.
ㅇ 특화도는 IT산업의 세부업종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지만 수도권을 제외한 광역시도는 집적이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개념에서 IT산업의 균형 배치를 고려해야함.
3. 울산 IT산업의 현황, 특징 및 구조분석
ㅇ 2000년 전국 IT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7%인데 비해, 울산은 5.3%에 머무르고 있으며, 사업체는 전국의 1.4%, 종사자는 1.5%를 차지하고 있어 인구비중(2.2%)보다 낮은 수준임.
ㅇ IT산업 내에서는 전자부품과 정밀기기의 집적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품목 단위로는 20개 정도가 집적도가 매우 높아 집중 육성시키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판단됨.
ㅇ 울산 IT산업은 그 비중은 작지만 입지생산성이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아 입지여건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이 높다고 판단되며, 기술혁신에 의한 발전을 지속해 오고 있어 기업유치에 의한 집적만 이루어지면 단기간에 발전할 수 있을 가능성도 있음.
4. 정책제안
ㅇ 삼성SDI 부산공장의 단계별 투자전략을 파악하여 신규사업분야(예를 들면 유기EL 등)에 대한 투자가 이곳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해서는 행정 및 정치력 등 울산에서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모을 필요가 있음.
ㅇ 특화도가 높은 20여개 품목에 대한 집중 지원임. 화학산업과 관련이 있는 전자계측기, 물리 및 화학분석용기기와 부품을 비롯하여 삼성SDI가 주력제품으로 생산하는 품목(부품 포함)이 바로 집중할 수 있는 분야임.
ㅇ IT산업의 발전이 대학과 연계되는 경우가 많고 중앙정부의 R&D 자금이 대학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대학을 유치할 때 IT 관련 학과와 교수진의 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